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EBITDA의 해석방법은 무엇인가요?

기업의 실적을 평가하는 요소 중에 EBITDA라는 항목이 있던데요. 해당 지표를 계산하는 방법과 해석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EBITDA는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영업이익에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더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에비타라는 말은 순이익에서 before 즉 I의 이자 T의 세금 D의 감가상각 A감모상각을 제한것을 말합니다

    해당지표는 차입을 해준 재무적투자자가 회사의 상환 여력을 보기쉽게 하기위한 방법으로 탄생된 지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이자로 나가는 부채의 이자비용과 그리고 법인세 부분을 제한것이며 감가상각과 감모상각은 회계상의 비용이며 현재 현금이 나가는 비용이 아니므로 추가적으로 더한것입니다

    즉 회사의 현금이 나가지 않는 비용을 제해서 현재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어떤수준인지 간단히 알아보는 지표여서 많이 활용하는것입니다

  • EBITDA는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현금흐름을 평가하는 지표로 투자자들이 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할 때 자주 활용하는 지표입니다. EBITDA는 영업이익에서 이자, 세금, 무형자산 상각 비용, 감가상각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을 의미합니다. EBITDA가 높을수록 영업활동으로 현금흐름을 잘 창출해내는 기업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BITDA는 영업이익, 감가상각비, 부형자산 상각비를 합친 말입니다.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 상각을 제외한 영업이익을 의미하는데요.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 상각비 로 계산이 됩니다.

    비현금성 비용을 제외하기 때문에 실제 현금흐름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감가상각, 재고 등을 무시하기 대문에 현금 흐름 왜곡할 가능성이 있으며 세금 부담에 대해 놓칠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실적을 평가할때 많이 활용되는 지표로 ebvitda를 들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는 영업활동의 결과로 받을 수 있는 수익이 어느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ebvitda가 높다고 한다면, 현금을 받을 수 있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투자에 대한 여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러한 지표가 낮다면 투자에 대한 여력이 낮아 투자를 추가적으로 하기 힘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러한 ebvitda를 활용하는 것은 회계적인 계산을 하여 수입과 지출을 비교할때 발생하는 오차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BITDA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 순이익을 의미하는데요. 기업의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순이익에 이자비용, 세금, 유무형 감가상각 비용을 더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EBITDA가 높으면 회사가 건강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