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행무상이라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제행무상이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제행무상이 나오게 된 시기는 언제이며
이 말이 나오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 교리 중 삼법인(三法印)의 하나. 우주 만물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아니하다는 것. 그런데도 사람들은 이를 항상 불변하는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릇된 견해를 없애야 한다는 뜻. 무상(無常)이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한다.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제행무상’이라는 명제로써 무상을 설명한다. 곧 이 현실세계의 모든 것은 매순간마다 생멸, 변화하고 있다. 거기에는 항상불변(恒常不變)이란 것은 하나도 존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현실의 실상(實相)이 제행무상으로 표시되었다. 그러나 일체는 무상한데 사람은 상(常)을 바란다. 거기에 모순이 있고 고(苦)가 있다.
《천수경》 등 경전에도 ‘무상한 까닭에 고인 것이다’라고 설명되어 있는 것이 그것이며 무상은 고의 전제라고 했다. 또 현실을 그와 같이 인식하는 것을 무상관(無常觀)이라고 하며 무상의 덧없음은 몽환포영로전(夢幻泡影露電)에 비유되어 불교적 인생관의 특색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무상관은 단순히 비관적인 덧없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무상하기 때문에 인간은 지위나 명예에 집착하는 탐욕을 버리고 오늘 하루의 소중한 생명을 방일(放逸)함이 없이 정진노력(精進努力)하려 하는 정신적인 결의가 생겨나게 되며 그것이야말로 불교의 진의(眞意)라고 하는 것이다.[네이버 지식백과] 제행무상 [諸行無常] (원불교대사전)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석가모니 부처가 깨달은 3가지 이치는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의 삼법인설이 있습니다. 열반적정을 더해 사법인설이라고도 합니다. 이중 제행무상은 만물유전의 세계관을 담고 있는 것으로 모든 것은 덧없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인생무상하면 인생은 덧없다. 즉 살았다고 할 것이 없듯이 모든 것이 변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행무상 >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제행무상 이라는 명제로써 무상을 설명합니다.
곧 이 현실세계의 모든 것은 매순간마다 생멸, 변화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항상불변 이란 것은 하나도 존재할 수 없다 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제행무상이라는 의미는 세상 모든 행위는 늘 면하여 한 가지 모습으로 정해져 있지 않음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행이란 생멸변화하는 일체의 형상법을 가리키며 유위와 같은 뜻이고 모든 현상은 잠시도 정지하지 아니하고 생멸변화 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탁월한태양새285님! "제행무상"은 조선시대 한국에서 사용되었던 표현으로, 주어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보상 없이 무위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는 임무를, "행"은 수행을, "무"는 보상 없이, "상"은 돌아오다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조선시대에 공무원들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보상을 받지 않고 정직하게 본분을 다하는 덕목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공무원들이 자기의 임무에 충실하고 부당한 이득을 취하지 않고 일하는 민감한 도덕적 가치를 상징하는 표현입니다. 이러한 가치를 강조하고자 당시 조선시대의 사회 체제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존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행무상:제행이란 생멸변화하는 일체의 형상법을 가리키며, 유위(有爲)와 같은 뜻이다. 모든 현상은 잠시도 정지하지 않고 생멸변화하므로 제행무상이라 한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