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2.02

유교사상은 언제 어느나라에서 들여온 건지 궁금해요

제가 1년에 제사를 8번 지내는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는 어린 마음에 당연란 거라 생각했고

조상을 모시는 게 미덕이라고 알고 있었어요


나중에 성인이 되어서 보니 기독교인들은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을 보고 아, 이게 유교사상의 영향이라는

걸 알게 되었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 전국 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로, 동아시아 특유의 종교 및 철학체계 입니다. 시조 공자의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사상은 우리 나라에 삼국 시대를 통해서 전해 지고 또한 고려 말 조선 초기에 성리학의 형태로 전해 지기도 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사상이 언제 우리나라로 들여왔는지가 궁금하군요.

    공자의 사상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나라에 전파되었지만 주로 국가운영원리로서의 유학이었습니다.

    종교적 체계를 갖추는 것은 고려말 조선초에 이르러서였습니다. 문묘를 세우고 공자와 성현의 위패를 모셔 제사를 지내기 시작했고 민간에서도 유교사상에 따른 제사 풍습 등이 체계적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조선의 경우 주자학 일변도로 치달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사상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년)에 전진의 스님인 순도가 불경과 불상을 지니고 들어와 전파하였습니다. 그러나 제사의식과 관련해서는 송나라 주희(주자)에 의해 확립된 주자가례의 영향에 의한 것입니다. 즉 성리학을 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오게 되었고 16세기 사림파들에 의해 확립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사상은 공자에 의해 창시되어 맹자, 순자, 한유, 주자, 왕양명 등으로 이어진 사상 체계로서, 현실 생활에서의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 등의 도덕적 덕목을 중시합니다. 중국의 전국(戰國)시대 말에서 한(漢)나라 초기에 우리나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