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3.02

유교사상이 우리나라에 뿌리내리게 된 이유가 뭔가요?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유교사상에 관련된 문화가 너무 많은 것 같아요.

대표적으로 제사가 그런 것 같습니다.

중국에서 넘어와서 조선시대 때 엄청 심했다고 하던데

정착된 이유가 궁금해집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사상이 우리나라에 뿌리를 내리게 된 때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공자의 사상으로 집대성된 유교사상이 부분적으로 전래한 시기는 서기전 3세기의 위만조선과 한사군시대로 추정되며, 공자의 경학사상이 본격적으로 수입되고 활용된 것은 삼국시대입니다. 삼국 가운데 중국과 인접한 고구려는 먼저 중국 문화와 접촉해 수용 · 발전시키기에 적합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백제가 해상으로 중국과 통행함으로써 유교를 비롯한 여러 문물 · 사상을 받아들여 발전시켰습니다. 신라는 한반도의 동남방에 돌아앉아 중국과는 거리가 있었으며, 유교 문화 역시 고구려와 백제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되었던 까닭에 삼국 가운데 가장 늦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유교는 역사적으로 한국에서 받아들여지고 발전한 유교의 형태를 가리키며, 조선시대 들어서는 나름의 독자적인 사상체계로 발전하고 자리잡았습니다. 조선 시대 유교가 번성 하게 된 이유중의 하나는 고려 시대가 불교 위주의 문화 였기에 이를 대신 할 국가적 사상으로서 유교가 더 자리 잡게 된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시아지역은 한참전 전국시대때 부터

    인도에서 수출한 불교와

    공자가 개발한 유교

    그리고 기존 원시신앙에 도가사상이 섞인 도교가

    서로서로 영향을 주면서 경쟁적으로 성장했고

    지역마다 최고의 자리에 있는 종교가 달랐지만

    세종교중 하나만 있는 지역은 없었습니다

    한반도는 통일신라시대때부터 확실한 불교지역 이었지만

    음양오행같은 도교적 모습이나 제사같은 유교적 행사도 있었는데

    고려시대에 불교가 너무 타락해서

    승려가 삼처사첩끼고 대부업에 소작농 부리는 상황이었고

    그래서 고려를 뒤엎은 이성계가 불교를 버리고 유교국가 만들기로 한 것입니다

    하지만 수백년동안 있었던 불교의 영향을 완전 지우진 못한 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