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2023년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이 망한 이유는?

2023년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이 파산을 하게 되었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코로나 이후에 세계 경제가 안좋을 때 인거 같긴 한데요

어떻게 미국 은행이 그 당시 파산하게 되었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에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한 주요 이유는 급격한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유동성 관리 실패에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가 회복 국면에 들어서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빠르게 인상했는데, 이로 인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채권의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SVB는 특히 대규모 채권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금리 상승으로 큰 손실을 입게 되었고, 은행 자산의 가치가 크게 줄어들며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SVB의 고객층이 주로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이었던 점도 위기에 기여했습니다. 경기 둔화와 투자 감소로 인해 스타트업들의 자금 상황이 나빠지면서 예금을 대규모로 인출하게 되었고, 이를 감당할 충분한 유동성을 마련하지 못한 SVB는 자금 부족 문제에 봉착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예금 인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며 고객들의 추가적인 인출이 가속화되었고, 은행은 빠르게 유동성 부족 상태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SVB는 주로 기술 스타트업과 벤처 캐피탈을 대상으로 한 특화된 고객 기반을 가지고 있었고, 이들 기업의 금융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예금 인출이 급증했습니다. 또한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상하면서 SVB가 보유한 장기채권의 가치가 하락했고, 이로 인해 은행은 자산을 손실을 보고 매각해야 했습니다. 결국, 예금주들이 대거 인출을 시도하면서 은행에 대한 신뢰가 붕괴되고, 뱅크런이 발생한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당시 대부분의 포트폴리오가 미국의 국채에 들어가 있었는데 미국이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하는 바람에 실리콘밸리가 들고 있던 국채의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 이는 표면상으로 은행의 자산이 감소한 것 처럼 보였고 당시에 은행이 부실해 보였기

      때문에 뱅크런이 발생하며 은행이 파산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이전까지 10년이 넘는기간동안 초저금리로 0프로에 가까운 금리가 오래 유지되는 기간이었습니다

    이에 국채수익률도 매우 낮고 이로인하여 장기간 낮은 금리가 유지되면서 상대적으로 만기가 긴 수익률이 좀더 높은 장기채에 수요가 집중되고 워낙낮은 금리로 국채를 담보로 다시 차입을 하여 다시 장기국채를 사는 극단적인 레버리지 투자를 미국의 주요 중소형 상업은행이나 여러 금융기관들이 투자를 해왔습니다

    그러나 코라나 이후 시장금리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만기가긴 장기채가 가격이 크게 폭락하면서 23년도부터 이를 못버틴 중소형상업은행들이 하나식 파산이 나게 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은 금리 상승, 리스크 관리 실패, 그리고 고객 기반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경기 부양책으로 저금리와 유동성 증가가 이어지면서 SVB는 대규모 자금을 확보하여 국채와 장기 채권에 투자했습니다. 그러나 2022년부터 연준이 급격한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채권 가격이 하락했고, SVB의 자산 가치는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SVB의 주요 고객층인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은 금리 인상과 투자 위축으로 인해 현금 흐름이 악화되었고, 은행에서 대규모 인출이 시작되었습니다. SVB는 유동성 부족을 메우기 위해 보유 채권을 손실을 감수하며 매각했으나 신뢰를 잃어 뱅크런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SVB는 지급불능 상태에 빠지며 파산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 그때 한참 금리가 올라가면서 은행들 위기설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은행들이 채권일 많이 가지고 있는데 특히 일부 지방은행들이 채권을 엄청나게 보유했습니다. 그런데 금리가 올라가니까 채권 가격은 하락했죠. 이게 만기까지 유지를 하면 아무 상관이 없는데 중간에 위기설이 나돌면서 사람들이 돈을 찾아가니까. 저렴한 채권을 팔아서 돈을 내줘야 합니다. 그러니 엄청난 손실이 쌓이고 은행이 망하게 된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