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스마트한파카192
스마트한파카192

27개월아기 다른친구가 물건을 계속뺐는데 그런생황에 어떻게해야하나요?

27개월아기입니다.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데 같이다니는 친구가 무조건 다뺏어갑니다. 어린이집에서도 뺐는다고 계속이야기하고 같이 놀이터간 상황에서 우리 아기꺼 장난감 같이 갖고노는데 3개가있으면 3개다 뺏어갑니다. 2개양보하고 우리아기가 싫다고 안뺏기려고하면 밀어서라도 뺏어갑니다. 제가 개입해서 친구가 다놀고준데 뺏지말라고해도 무조건뺐는데 이런상황에서 우리아기에겐 어떻게해야하고 그 아기한테는 어떻게 해줘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솔직히 이런 막무가내 친구들이 어딜가든 간혹 있는데요. 이런 친구들은 아무리 말을 해도 27개월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훈육이라는 거 자체가 먹히질 않습니다. 질문자님의 아이가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그 아이 주변에 가지 않고 함께 놀지 않는 것을 최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더불어 자기 물건은 절대 남에게 뺏기지않고 꼭 지켜야함을 이야기해주세요.

    솔직히 바로 상황이나 그 아이를 바꿀만한 방법이 달리 없습니다. 그 아이의 부모가 아닌 이상 어떻게 할 수가 없기 때문이죠. 요즘같이 사소한 행동으로 아동학대로 오해받기 쉬운 세상에서 다른 내 아이말고 다른 아이들에게 따끔한 한마디 하는게 참 힘든 세상입니다.

  • 다른 아이가 자신의 물건을 빼앗거나 밀치는 행동을 하면 아이들은 불안감과 분노를 느낄 수 있으며
    "네가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빼앗겨서 속상했구나"라고 말하며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줍니다.
    "만약 누군가 네 물건을 빼앗으려고 한다면 '내가 먼저 가지고 놀고 있었으니까 조금만 기다려줘'라고 말해보는 건 어떨까?"라고 말하며 대처 방법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상대방도 자기가 가지고 놀고 싶은 마음이 있어서 그랬을 거야"라고 말하며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는 법을 가르쳐줍니다.

  • 아이가 친구의 장난감을 뺏었다면 장난감을 뺏긴 친구에게 우선은 미안해 라고 말한 후, 아이를 데리고 그 친구와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데려가셔서 아이를 앉힌 후,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굵은 목소리로 단호하게 친구의 장난감을 뺏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친구의 장난감을 뺏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아이와 이야기가 끝났다면 아이를 친구에게 데리고 가서 미안해 라고 사과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세요.

    또한 아이에게 인성교육을 수시로 시켜주면서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상대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대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세요.

    옛말에 세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아이의 행동이 습관이 되지 않도록 아이의 잘못된 부부은 그 즉시 짚어주고 아이의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아주도록 하세요.

  • 우리아이들의 경우에는 24개월에서 36개월 사이에 자기 물건이라는 인식을 가지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자기가 만지고 있는 물건은 당연히 자기것이고, 남이 만지는 물건도 본인이 만지고 싶어하기 때문에 뺏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때 우리 아이를 정확하게 훈육을 하지 않으면 남의 물건을 뻇는것이 당연하다고 느낄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함께 만지고 양보를 하는 방법을 갈켜주고 인내하는 방법을 알려주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 참 곤란 하시죠 ~

    훈육을 시작하기 전에 부모의 일관된 행동이 중요합니다 감정적으로 아이를 대하지 않고 일관성 있게 훈육을 진행 해야 합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빼앗 았을때 단호한 표정으로 아이 스스로 울음을 그칠때 까지 기다려 주세요 아이가 힘들어 하거나 서럽게 울 때는 어떠한 소통도 안 되므로 기다려야 합니다

    아이의 사소한 요구도 들어주지 않고 현재 훈육중임을 인지 시켜야 합니다

    성급하게 훈육 상황을 종료 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훈육 시작부터 종료까지 부모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합니다

    파이팅입니다

  • 우선 그아이의 부모가 있으면 먼저 나서진 않습니다.

    부모가 없는 상황이라면,

    아이에게 왜 물건을 뺐었는지 물어보고

    공감의 말로 시작을 합니다.

    하지만 잘못된 행동임을 알려줍니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옳고 그름을 배우게 되고,

    규칙(사회성)을 배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