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상담

치매는 유전인가요? 후천적인가요?

나이
52
성별
여성

치매는 유전인가요? 아니면 후천적인 이유인가요?

다른 병들은 가족력이나 유전적인 요인이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치매도 마찬가지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둘다 작용합니다.

    유전적인 요인도 작용하고 후천적인 요인도 작용합니다.

    단순히 유전이다 아니다로 판가름할순 없습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치매(알츠하이머병)의 절반정도는 유전적 원인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유전적인 소인이 큰 질환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기 치매의 경우, 유전 경향이 강하지만 65세 이후의 치매의 경우에는

    환경적인 요인이 더 강합니다. 음주, 고지방 식이, 운동 부족과 함께 글을 읽거나

    대화를 많이 하지 않는 경우, 치매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치매의원인은 복합적입니다.


    유전적 요인: 특정한 형태의 치매, 예를 들어 조기 발병형 알츠하이머병,는 강력한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매는 단순히 유전만으로 설명되기는 어렵습니다.


    후천적 요인: 다양한 생활 습관과 환경적 요인이 치매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높은 혈압, 당뇨병, 비만, 흡연, 물리적 및 정신적 활동 부족 등은 치매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즉, 치매는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 치매는 유전적인 영향도 있기는 합니다. 치매의 가족력이 있거든요.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치매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치매의 가족력 없이 치매가 오는 경우도 있어요. 즉 환경적인 요소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과음, 흡연, 만성 질환 관리 등이 중요한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Psychiatry Clin Neurosci. 2023 Aug;77(8):449-456

    엄마가 치매 병력이 있는 경우 자녀은 치매 발병 위험이 51%나 증가하고,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도 80%나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치매 또한 선천적인 영향이 크게 작용합니다.

    물론 후천적인 노력으로 치매 증상을 경하게 할 수 있기 떄문에 조기검진 및 관리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감사합니다.

  • 치매는 발병에 있어 가족력이 많은 영향을 주는 질환입니다. 즉, 유전적인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는 질환이지만 후천적인 요인들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매는 정확히는 유전이 되는 유전 질환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