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한잔안되겠니
한잔안되겠니23.03.30

아이가 쉬가 마려우면 너무 오래 참아요.

유치원 다니고 있고 말 그대로 쉬를 너무 오래 참아요 그러다가 바지에 지리구요.


아이가 급하면 하는 제스처가 있는데 그걸 보면 얼른 화장실 가라고 얘기를 하는데 그때 마다 괜찮다고 얘기하고 참고 참다가 바지에 지려 있어요.


그럴때마다 괜찮아 얘기하고 급하면 화장실 가자 하는데 고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쉬가 마려우면 참는 것이 아니라 그 즉시 화장실로 가서 소변을 보아야 한다 라고 자주 말하여 주도록 하세요,

    또한 담임선생님께 쉬가 마렵다고 말을 해야 된다 라는 것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용변을 참는 아이들은 긴장도가 높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혹시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긴장할만한 일이 있는지 잘 살펴봐 주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가 긴장감이 높은 편이라면 아이의 긴장감을 완화 시켜주시는 것이 좋겠으며, 부끄러워서 쉬가 마려운데 말을 하지 못한다 라고 한다면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하셔서 아이가 조금 더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 보면서 아이의 행동을 개선시켜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실수를 하고 쉬를 참을때는 안된다는것을 알려주는것이 좋으며

    이러한것을 교육할때는 책을 보여주거나 하면서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 꾸준히 연습해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0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괜찮다고 이야기를 하더라도 쉬가 마려운 제스처를 취할 때 바로 화장실로 데려가서 변기에 앉는 연습을 반복해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여러 번 반복을 하다보면 아이도 자연스레 쉬가 마려울 때 바로 화장실에 갈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배변습관을 바꾸어줄 필요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아이에게 아이 눈높이에 맞는 설명을 해주셔야 합니다. 소변이나 대변을

    참게 되면 몸이 아플수 있다는 등의 쉬운 설명을 해주어 아이가 스스로 행동을

    바꿀수 있게 해주세요. 관련 영상이나 책등을 활용하는 방법도 효율적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놀이에 집중을 하다보면 화장실에 가는 것을 귀찮아해서 참다가 결국은 실수를 하는 경우가 잦답니다.

    아이가 실수를 했다고 다그치기 보다는 계속해서 아이에게 소변이 마려우면 바로 화장실에 갈 수 있도록

    지도를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쉬가 마려울 때 괜찮다고 얘기하고 참다가 지리게 된다면, 이는 아이가 쉬를 참아본 경험이 부족해서 생길 수 있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쉬를 참아볼 수 있는 시간을 점점 늘리면서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것은 아이가 언제쯤 쉬가 마려워지는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마다 아이의 쉬를 관찰해보며 언제 쉬가 마려워지는지 기록해봅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쉬를 참는 것의 중요성과 어떻게 참아볼 수 있는지 알려주면서, 참아볼 수 있는 시간을 점점 늘려가는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예를 들어 처음에는 5분간 참아보도록 하고, 그 다음에는 10분간 참아보도록 하면서 차근차근 시간을 늘려나가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아이에게 화장실에 가는 시간을 정해놓고, 그 시간에 맞춰서 가게끔 유도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가 언제쯤 화장실에 가야하는지 알고 있다면, 더 쉽게 쉬를 참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쉬를 참다가 지리는 경우에는 지체하지 않고 화장실에 가도록 유도해주세요. 아이에게 화장실에 가야하는 시점과 그 중요성을 교육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