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조선 후기 농법의 발달과 한계는 무엇이었나요?

조선 후기에는 인구압력의 증가로 경제생활이 악화되면서 농법을 발달시켜 토지생산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는데요. 농법의 발달 사례와 그 한계점을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농업 기술이 발달하면서 농법에도 여러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우선 가장 대표적인 변화는 이모작의 확대입니다. 이전보다 농사짓는 기술이 향상되고, 보급 가능한 작물의 종류가 늘어나면서 논에서는 벼, 밭에서는 보리와 콩, 조, 감자, 고구마 등의 재배가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경지 이용률이 높아지고 수확량도 증가하게 되어, 일부 농민들은 경제적으로 여유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역에 따라 특산물을 재배하거나, 상품 작물(면화, 담배 등)을 재배하여 시장에 내다 파는 상업적 농업도 성장했습니다. 일부 부유한 농민들은 상품 작물을 통해 수익을 얻고, 이를 통해 토지를 확대하거나 상업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농업 발달에는 분명한 한계도 있었습니다. 첫째, 농업 기술이 여전히 경험에 의존했고, 과학적 방식이 정착되지 못해 농업 생산성이 일정 수준을 넘기 어려웠습니다.

    둘째, 토지의 소유 편중이 심화되면서 부유한 지주와 몰락한 소작농 사이의 격차가 커졌고, 소작농은 늘어난 생산물의 이익을 충분히 누리지 못했습니다.

    셋째, 기후나 자연재해에 여전히 매우 취약해, 한 해 흉작이 발생하면 농민들이 생계를 위협받는 구조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결론적으로, 조선 후기 농법은 이모작 확대와 상업 작물 재배 등으로 발전을 이루었지만, 농업 기반의 구조적 불균형과 기술적 한계, 재해 취약성으로 인해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고 농민 대다수의 생활을 크게 개선하지는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