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v에서 220v로 바뀐계기는??
우리나라 전력공급을 110v에서 220v로 바뀐걸로 아는데요. 언제 110v에서 220v로 바꼈고 바뀌게된 이유와 계기가 무엇인가요?? 110v를 220v로 바꾸는데 걸린 시간과 비용은 얼마나 되나요??
일단 (볼트)는 전압, 즉 전기의 압력을 나타냅니다. V 앞의 숫자가 커지면 커질수록 전기가 우리 가정으로 전해지는
압력이 더욱 높다는 뜻이죠. 수압이 높으면 물이 세게 나오듯이 전압이 높으면 전기가 더욱 힘차게 나온답니다.
110V보다는 220V에서 전기가 더욱 힘차게 나온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한국전력은 1973년부터 2005년까지 32년간 우리나라의 표준전압을 110V에서 220V로 끌어올리는 ‘승압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이 사업은 투자비 1조 4천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작업이었습니다.
이사업을 진행하게 된 이유는 결국 돈입니다.!!
전력=전류X전압 ==>전력의 힘을 계산하는 공식이랍니다.
이때 전압이 올라가면 전류의 세기가 약해도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죠. 또한 전압을 높이면 송전(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사용자에게 수송) 할 때 발생하는 전기 손실량이 줄어든답니다.
이렇게 전기가 손실되는 양이 줄어들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그 수치를 국가 단위로 환산하면 매년 약 40억 kWh의 전력을 아낄 수 있죠. 이를 금액으로 환산한다면 연간 약 1700억 원이 된답니다!
그리고 승압을 하게 되면 사용자가 내는 전기요금도 줄어들게 됩니다.
표준전압이 220V 일 때, 각 가정이 내야 하는 전기료 역시 110V를 사용할 때보다 적어진답니다.
송전할 때 잃어버리는 전력이 줄어들어서 내가 전기를 사용하는 만큼만 요금을 내면 되기 때문이죠~
또한 표준전압이 220V 이면 정전 가능성도 줄어든답니다. 1960~70년대 당시, 한국의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국민들의
생활양식이 서구화됨에 따라 가전제품이 널리 보급되었는데요. 전기다리미는 1960년대 말부터 생산이 확대되어 1970년대에는
거의 모든 가정이 보유하고 있을 정도였지요. 같은 시기에 텔레비전과 냉장고 역시 널리 보급되었고요.
이렇게 전기 사용량이 전국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110V의 전압으로는 늘어난 사용량을 감당하기 힘들어졌습니다.
전기 수요량이 갑자기 증가하면 과부하로 인해 정전이 자주 발생하기도 했지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국의 전선을 모두
새것으로 교체해야 했는데, 이는 비용과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들게 되죠. 그래서 정부가 대안으로 표준전압 승압사업을
진행했던 거랍니다!
안녕하세요.
110V, 220V에서 V는 전기의 압력을 뜻하는 것으로 V앞에 숫자가 커질수록 전기가 가정으로 전해지는 압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3년부터 2005년까지 32년동안 110V에서 220V로 바꾸는 사업을 진행했고,
투자비 1조 4천억원이 들었다고 합니다.
바꾸게 된 이유는 경제적 효과 때문인데요. 전압이 올라가면 전류가 약해도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고,
발전소에서 전기를 사용자에게 수송할 때 발생하는 전기의 손실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바꾸게 되었습니다. 전기 손실량을 줄이게 되면, 전력이 아껴지는 것으로 그것이 결국 돈을 아끼는 것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220V일 때의 전기료가 110V일 때의 전기료보다 더 적어진다고 합니다. 손실되는 전력이 줄기 때문에 사용하는 만큼만 요금을 내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정전의 가능성도 줄어들기도 했구요.
이 제안은 우리나라의 전기공학박사 1호인 한만춘 선생께서 대통령에게 제안하였고, 그 당시 대통령이 수락했기때문에 진행된 일입니다. 우리가 편하게 정전없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다 한 박사님 덕분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