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부유한잉어80
부유한잉어8022.11.14

뛰지 말라고해도 뛰는아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저는 아파트에 살고 있습니다.

아이가 밤마다 너무 뛰어서 밑에층 시끄럽다고 뛰지 말라고 주의를 줘도 말을 잘 듣지를 않아요

그래서 신나게 뛰고 오라고 태권도학원도 보내는데도 소용이 없네요


또 너무 심하게 다그치면 아빠 밉다고 울기만하는데


현명한 방법이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4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몇살인지 모르겠으나

    왜 걸어 다녀야 하는지 이유를 잘 모르는 것 같아요.

    아이가 이해를 할 수 있는 나이가 되기까지는 바닥에 충격흡수매트 같은걸 깔아놓는게 아이에게도 스트레스가 덜할 것 같아요.

    '만약에 우리 윗집에서 쿵쾅쿵쾅 소리가 나면 ○○는 어떨것 같아? ○○가 뛰면 아랫집에도 그런 느낌이 들지 않을까?'라고 얘기해주는건 어떨까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밑집에 같이 가서 사과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것도 좋습니다

    나의 행동이 미안한것이고 타인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알려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에게 집에서 뛰면 아랫집 분들이

    피해를 본다고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아랫집에 가서 직접 엄마아빠가 죄송하다고 보여주셔서

    아이들이 뛰지않게 교육을 하겠다 이런 것을 보여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바쁘게 뛰어 다니는게 지극히 정상이라고 봅니다.

    우리 아이에게 "하지말라, 안된다, 그만해라 " 라는 단어는 아이를 위축시킬 뿐만 아니라 소극적, 내지는 좌절감을 가져 올 수도 있다고 봅니다.

    우리 아이가 맘껏 뛰어도 아랫층에 영향이 덜 갈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우리 아이가 아마도 밝은 성격에 에너지가 넘쳐서 예절과 절도와 규칙에 따라 지도하는 태권도 학원에서의 놀이만으로는 만족을 하지 못할 것입니다.

    바깥 놀이로 맘껏 뛰어 놀 수 있는 공놀이(축구, 핑퐁등)나 배드민턴, 달리기, 자전거타기 등을 많이 해 보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활동 후 집안에서는 앉아서 하는 게임이나 책놀이지도로 자연스럽게 안정적으로 이끌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집안에서 뛴다면 집안에 쇼파를 치우고 그 자리에 침대 메트리스만 놓고 메트리스에서만 뛰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메트리스는 충격흡수가 좋고탁월한 쿠션감은 우리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도 좋은 놀이감이 될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더 건강하고 밝고 예쁘게 성장하길 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집에서 뛰는것도 습관의 일종이기에 습관을 바로 잡기 위한 훈육을 해주셔야합니다. 그리고 훈육에 앞서서 아이에게 아파트가 공동주택이며 지켜야할 예절이 있음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훈육은 체벌이나 강하게 이야기 하는것 보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하는 좋은 방법은

    훈육시에 태도가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언제는 웃어넘기고 언제는 혼내고 하면

    훈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훈육시에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계속해서 뛴다고 하면

    주의를 주는 것보다는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아이가 그렇게 못하게 하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뛰어노는 것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러운 행위입니다.

    아파트에 주로 사는 생활습관으로 인해 본능을 억제하게 되는 것일 뿐 아이의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 아닙니다.

    행동을 억제함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방법도 생각을 해보세요.

    바닥에 매트를 깔고 고무로 된 슬리퍼를 신고 생활해 보신다면 어느정도 층간소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우선 주변에서 듣는 소리 중 아름다운 소리와 불편한 소리를

    주변에서 찾아보는 게임을 한 후에

    그 느낌을 서로 이야기를 하도록 해보십시요

    아름다운 소리와 불편한 소리를 들었을 때의 느낌을!!!

    그리고 실내에서 불편한 소리를 내지 않기 위한 아이들이 스스로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하게 해 보십시요.

    배려, 양보,등 인성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뛰는 이유는 뇌가 발달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입니다. 뇌발달은 신경세포인 뉴런과 그 뉴런 사이를 잇는 시냅스를 만드는 데 그 핵심이 있습니다. 뉴런과 시냅스는 운동과 영양을 재료 삼아 만들어집니다. 여기서 말하는 운동은 움직임입니다. 그래서 세상의 모든 아이들은 뛰어다니며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