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불교적으로는 정신수양과 사리연구를 아울러 수행하는 것.
불교적 의미로는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는 것.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원만하게 수행해가는 것. 정혜등지와 거의 같은 의미. 선정(禪定)과 지혜(智慧), 즉 교학(敎學)을 함께 닦는 불교의 수행법을 의미한다. 고려의 보조지눌(普照知訥)이 주장했다. 초기 불교에서부터 선정과 교학은 계율과 함께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삼학(三學)으로 지칭되는 중요한 수행법이었다. 그러나 불교가 중국에 들어온 이후 교학을 위주로 하는 종파와 선정을 중시하는 종파가 생겨나면서부터 선정과 교학은 대립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었으며, 각 종파에서는 상대방의 수행방법을 무시하는 배타성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지눌이 살았던 고려 중기에도 마찬가지였다. 이에 선종(禪宗)의 승려였던 지눌은 선정과 교학이 결코 대립적인 관계에 있지 않으며, 선정의 수행에 교학이 필요함을 역설하여 이 둘을 함께 닦을 것을 주장했다. 이것은 선(禪)의 입장에서 교(敎)를 포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눌이 이러한 주장을 하게 된 이론적 근거는 화엄교학(華嚴敎學)에서 발견할 수 있다. 지눌은 화엄종(華嚴宗)의 전통에서도 회통적인 성격을 지닌 이통현(李通玄)의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에 나타나는 화엄종의 종교적 수행을 뒷받침하는 이론과 선불교도들의 수행이론이 근본적으로 같다는 사실에서 그 근거를 찾은 것이다.
따라서 지눌은 선수행자들에게 따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해줄 필요가 없게 되었다. 지눌은 화엄교학의 성기설(性起說)이 ‘마음이 바로 부처(心卽是佛)’라고 하는 선종의 근본 가르침과 같다는 것을 증명했고, 화엄교학에서 말하는 중생과 부처는 동체(同體)요, 어리석음과 깨달음은 상(相)과 용(用)에 불과하다는 것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선에 대한 통찰력을 강화ㆍ심화시킬 수 있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혜쌍수 [定慧雙修] (원불교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