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성숙한거위73
성숙한거위7323.03.15

모든 행성이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는 이유가 뭔가요?

태양계 행성 보면 모두다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던데 도대체 이유가 뭘까요?

아니면 반대로 공전하는 행성이 있나요? 문득 궁금해지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 행성이 공전하는 원리는 태양 중심으로의 중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태양의 질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주변 공간에 중력장을 형성하고 이는 행성들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합니다. 이 과정에서 태양의 자전력이 행성의 공전 방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모든 행성들이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게 됩니다.

    또한, 태양계의 형성 과정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던 원반 안에 있던 물질이 서로 충돌하면서 점차적으로 더 큰 덩어리들이 형성되었습니다. 이러한 덩어리들은 처음부터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충돌하여 점차적으로 행성들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모든 행성들이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대로 공전하는 행성이 발견되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천체는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는데요, 태양계를 예로 들면 원시 태양 주변에 있던 가스와 먼지 디스크인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에 거의 예외 없이 태양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합니다.

    즉, 공전하는 중심에 위치한 항성에서 행성이 만들어졌기에 항성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의 모든 행성은 태양의 자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전한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예외적으로 별과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별의 자전 방향과 반대로 공전하는 역주행 행성이 생길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의 항성 천체물리학 센터 연구팀이 이끄는 국제 과학자팀은 지구에서 900광년 떨어진 K2-290라는 쌍성계에서 실제로 역주행 행성을 확인했다. K2-290A는 적어도 두 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데, 각각 해왕성과 목성보다 약간 작은 크기다. 두 행성 모두 수성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모항성을 공전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두 행성의 공전 궤도가 90도보다 더 큰 124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180도 뒤집어진 것은 아니지만, 비스듬하게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 셈이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행성이 같은 방향으로 공전하지는 않습니다. 일부 행성들은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행성들이 태양 주변을 동일한 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태양계가 형성될 당시의 초기 조건과 그 후의 진화 과정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태양계 형성 초기, 태양 주변에는 매우 큰 구름이 존재했습니다. 이 구름은 회전하고 있었고, 중력작용에 의해 점점 더 작아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구름의 회전 방향이 결정되고, 이어지는 행성 형성 과정에서도 이 방향이 유지되었습니다.

    또한, 행성들 간의 중력 상호작용 역시 이러한 방향성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줍니다. 행성들은 서로에게서 중력을 받아 행성 궤도를 조정하고, 이 과정에서 행성들의 궤도 방향도 일정한 경향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왜 일부 행성들은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는지는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가 하나의 성운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태양계행성의 공전방향은 모두 동일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대로 돌게되면 충돌이 일어나서 결국 없어지게 됩니다. 그러다보면 한쪽 방향으로만 도는 행성들만 남아있게 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