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22.02.26

유성, 유성우, 운석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우주엔 지구를 포함한 행성 및 소행성이 수많이 있잖아요. 그중 유성, 유성우, 운석이 있는데 이들의 차이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유성, 유성우, 운석에 대하여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성은 별똥 또는 별똥별이라고도 하며 ,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돌입하여 밝은 빛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유성은 지구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는 다른 것이다. 유성이 타지 않고 떨어지는 것을 별똥별이라고 한다

    유성우는 매년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지구가 1년에 1바퀴 공전하기 때문이다. 즉, 지구가 거의 같은 자리를 지나므로 파편이 많은 자리를 또 지나는 것이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는 혜성의 방사점도 거의 비슷하다. 방사점(또는 복사점)이란 간단히 말해 유성이 밤하늘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부분이다. 앞서 말했듯이 지구가 태양에 대해 공전궤도에서 같은 부분에 있을 때 발생하게 되므로 유성우가 내릴 때 별자리의 배열도 비슷해진다. 따라서 매년 발생하는 유성우는 항상 별에 대해 비슷한 위치에 방사점을 가지게 되므로 유성우의 이름은 별자리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다. 물론, 방사점의 근처의 별자리의 이름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사자자리 유성우라면 방사점이 근처이다.

    사자자리, 쌍둥이자리 유성우 같은 겨울에 있는 유성우를 관측하려면 상당히 추우므로 따뜻하게 할 만한 것을 챙기는 편이 좋다. 특히 조금 제대로 보려고 멀리 가는 경우에는 특히 잘 챙겨가자.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성은 별똥 또는 별똥별이라고도 하며,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돌입하여 밝은 빛줄기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유성은 지구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는 다른 것 입니다.

    유성우는 이런 유성이 비처럼 내리는 것 입니다


  • 유성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별똥별을 의미합니다.

    우주에 돌아다니는 수 많은 돌덩어리 중 일부가 지구로 들어와 떨어지면서 타는 것입니다.

    이때 한 번에 많은 돌덩어리가 지구로 들어오면 유성이 많이 관측되고

    유성이 비처럼 내린다고해서 유성우라고 부릅니다.

    운석이 이러한 유성이 지구 대기권에서 다 타서 없어지지않고 지표면에 충돌한 것을 운석이라고 부릅니다.


  • 운석 - 우주에서 지구로 온 암석이 지구 대기의 마찰에 불 타고 남은 잔해가 지표면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유성 - 우주에 돌아다니는 암석의 집합을 유성체라 하고, 지구에 닿기 전 공기의 마찰에 의해 가열되어 빛이 나는 것입니다.

    유성우 - 유성이 비처럼 보이는 현상 입니다.


  • 유성, 유성우, 운석은 모두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지는 천체를 말합니다. 유성은 우리가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불꽃같은 빛나는 천체를 말하며, 이는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오면서 마찰열로 인해 발생하는 빛으로 보입니다. 유성우는 유성이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발생하는 궤적상의 밝은 줄기를 말합니다. 운석은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지는 돌조각으로, 지표면에 도착할 때까지 크기가 큰 것을 '대기질량체'로, 작은 것을 '소기체'로 구분합니다. 운석은 유성우와 달리 빛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