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에 사군자가 유행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거 선비가 존재하던 조선 시대에
선비들 사이에서 사군자가 유행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떤 이유에서 사군자가 유행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군자란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말합니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이들은 꽃을 피우고 생명력을 유지하는 덕목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사군자의 특성을 인품과 학식이 뛰어난 군자와 비유하여 존경하고 모방하였습니다. 또한, 사군자는 문인화의 주요 소재로도 자주 사용되었어요. 사군자는 조선 성리학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과 선비의 이상을 잘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군자 ( 四 君 子 )는 매화 · 난초 · 국화 · 대나무 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자 겨울에 제일 먼저 피는 꽃 매화
겉을 뽐내지 않아도 은은 향이 멀리 퍼지는 난초
늦가이루 까지 추위를 견디며 피어있는 국화
그리고 꽂꽂하고 구부러지지 않는 대나무가
각자 선비의 절개, 지조를 상징한다고 하여 유행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많은 꽃과 여러 식물 들중에 이들을 선택해서 학식과 인품, 덕이 높은 사람에 비유하여 ' 군자 '라 불렀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이 네 가지 식물들의 아름다움을 높이 산 까닭도 있지만, 각각 높은 기상과 품격을 지녔기 때문 입니다.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는 지조와 절개를 군자의 가장 큰 덕목으로 여기었던 조선 이라는 유교사회에서는 어떠한 고난과 악조건 속에서도 꿋꿋이 꽃을 피우는 사군자가 선비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