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
23.01.16

아이 조기교육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주변 어른들 말씀을 들어보면 조기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시고 다른분은 조기교육은 오히려 애한테 안좋다고 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어떤게 맞는 이야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
    23.01.16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겪어보신 대로 의견이 갈립니다.

    사람에 따라 환경에 따라 선행학습의 효과가 나뉘게 되는데 아이가 원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지만 선행학습에 때문에 학교수업에 흥미를 잃기도 합니다. 아이와 상의하셔서 결정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 또한 조기교육이 필요합니다.

    예절 등에 대하여는 지속적인 조기교육이 필요하나

    학습에 대한 너무 이른 조기교육은 반감이 클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기 교육의 이면에는"더 빨리, 더 높이, 더 정확하게"라는 것이 존재하고 눈에 보이는 것들만을 중시하고,경쟁 원리가 작동하게 되는 문제점도 많답니다.

    언제나, 육아에 정답은 없답니다.

    남들이 한다고 해서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남들이 하지 않는 다고 해서 그대로 따라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순리대로 하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어떠한 조기교육이 필요한지는 주양육자인 부모님께서 느낄수 있습니다. 아이가 영유아시기에는 부모님과의 올바른 애착형성이 최고의 교육이라고 생각됩니다. 올바른 애착형성이 이루어져야 바른 정서가 함양이 되면서 친구들과 잘 어울릴수 있는 사회성의 디딤돌이 됩니다. 아이가 유치원 시기가 되면 아이가 보이는 호기심과 재능을 캐치하셔서 다방면으로 도움을 주는것이 조기 교육인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조기교육은 다양하게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조기교육이 필요한가? 필요하지 않은가?를 논하기에 앞서서

    조기교육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한 것 같습니다.

    - 조기교육은 선행학습이다. 초등학교에 가려면 한글은 알아야 하고, 덧셈도 알아야 하고, 영어 알파벳도 알아야하고.... 이렇게 미리 공부를 시키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선행학습입니다. 우리나라는 과거에는 선행학습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은 선행학습을 조장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나, 아직도 학원 등에서는 많이 실시합니다. 한글/영어/산수 등 많은 것을 공부하고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다른 친구들보다 앞선 것처럼 보이지만 알고 있는 것들에 실증을 내서 학교수업이 재미었는 경우가 되어 산만해질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 아이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필요한 교육적 요구를 제공하는 경우도 조기교육이라고 합니다. 언어발달에 장애가 있는 아이에게 언어치료, 미술치료, 행동치료... 등을 제공하는 것이 교육적 요구에 따른 조기교육입니다. 이때의 조기교육을 제공하는 이유는 조기교육이 제공되어야 또래아이들과 초등학교에서 만나서 같은 내용을 공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꼭 필요한 맞춤형 교육인 것입니다.

    ** 위의 두 개념을 고려하셔서 우리아이에게 어떤 개념의 조기교육이 필요한지를 고려하시면 좋겠습니다.

    가능하시면 학교에 들어가서 질리도록 공부를 하게되는 우리나라 상황에서는 어릴때는 놀 수 있을때 바깥놀이, 또래놀이 등을 맘껏할 수 있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16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기교육이 단순히 부모 개인의 기대 충족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진행되는 것이라면 아이는 스스로의 욕구보다 부모의 기대감에 미치기 위해 자신의 잠재력 또한 꺼내게 되지 못합니다. 아이에게는 아이 연령별 발달과정에 맞춰, 학습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결정적인 시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의 적절한 자극이 필요합니다. 모국어의 경우 만 3세 이전이 결정적 시기이고, 외국어는 논리와 인지발달이 형성된 만 6세 이후가 결정적인 시기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발달에 맞는 단계별 교육을 통해 차근차근 성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아이 스스로가 좋아하는 일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 만큼의 자극과 자신감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