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미래 영화에서 보면 옥수수밭이 최후의 식량으로 자주 보이는 이유는?

미래 재난 영화에서 보면

특히 기후적인 재난상황이 도래하는

미래사회에서

최후의 식량으로 취급받는 건

결국 옥수수가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전설적인 SF영화인 인터스텔라 에서도

옥수수 밭이 최후의 식량수단으로 비춰지는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다른 모든 식물들이 멸종되는 상황에서도

옥수수는 살아남아 있는 상황이 의아하기도하구

특히

옥수수라는 작물은

미국에서 더욱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아는데요.

그럼

왜 재난영화에서

미래의 최후식량으로 옥수수가 등장하는

진짜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옥수수는 생명력이 강하고 환경적응력이 좋아서 척박한 땅에서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또한 수확량이 매우 많으면서도 칼로리 효율이 높아 최후 생존식량으로 적합합니다.

    추가로, 사람이먹는것 뿐 아니라 가축들의 사료로도 잘 활용되기때문에

    미국에서는 대량생산되고있는 식품이며, 최후까지 인류가 보전하려는 노력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옥수수는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높고 비교적 다양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 때문에 재난 상황 속 최후의 식량 자원으로 상징되기 적합합니다. 또한 옥수수는 식용 외에도 다양한 공업 원료로 사용될 만큼 활용도가 높아 인류 생존에 필수적인 작물로 그려지기에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영화 제작, 특히 미국 영화계에서 옥수수밭이 주는 광활하고 때로는 황량한 시각적 이미지가 극적인 배경으로 자주 활용되는 점도 이유 중 하나입니다.

  •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우리나에서는 옥수수의 생산량이 그다지 많지 않지만 전 세계적으로 보면 다른 주요 곡물에 비해 생산량이 매우 높은 작물입니다. 특히 한정된 땅에서 최대한 많은 식량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인데 실제로 옥수수는 밀 생산량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확량을 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옥수수는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도 잘 자라는 편입니다. 벼처럼 물이 많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밀처럼 서늘한 기후를 요구하는 것도 아니어서, 비교적 넓은 범위의 환경에서 재배가 가능합니다.

    게다가 수수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칼로리가 높은 작물입니다. 말씀하신 재난 상황에서는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칼로리가 높은 옥수수는 효율적인 식량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것이죠. 100g당 평균 365kcal 정도의 열량을 낼 수 있다고 하니, 다른 작물에 비해 월등히 높은 열량이죠.

    그 외에도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하고 그대로 먹을 수도 있지만, 빵을 만들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도 가능하죠.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대표적으로 인터스텔라같은 영화에서는 옥수수가 최후로 살아남은 작물로 묘사가 되는데,

    실제로 옥수수는 다양한 기우에 적응할 수 있는 높은 적응력을 가지고있습니다.

    그래서 왠만한땅에서는 생산성이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식용뿐아니라 사료나 에너지원료등으로 활용도가 높기까지해서

    실제 최후의 식량이 될 가능성이 높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미래 재난 영화에서 옥수수가 "최후의 식량"으로 자주 등장하는 데는 단순한 연출 이상의 현실적, 상징적 이유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인터스텔라가 그걸 강렬하게 보여주는데요, 우선 옥수수는 엄청나게 튼튼한 작물입니다.옥수수는 고온, 가뭄, 척박한 토양에도 어느 정도 잘 견디는 작물인데요, C4 광합성 방식 덕분에 광합성 효율이 높고, 열대·건조 환경에서도 생존률이 좋습니다. 즉, 재난 상황에서도 "그나마 버틸 수 있는" 작물인 것입니다. 다음으로 옥수수는 다목적 작물입니다. 즉 그냥 사람이 먹는 것뿐 아니라 가축 사료, 바이오 연료(에탄올), 전분, 설탕(옥수수 시럽), 플라스틱 원료 등 가공 범위가 넓어서, 문명이 망해도 산업·식량 양쪽에서 마지막까지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국 중심의 시각 (헐리우드 영향)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대부분의 SF재난 영화는 미국에서 만들어지는데, 미국은 세계에서 옥수수 최대 생산국이자, 가장 흔한 작물이며 미국 중부 지역 = 'Corn Belt'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미국인의 일상에서 옥수수는 현실적이며 익숙한 생존 식량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