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관대한침팬지140
관대한침팬지140
23.08.17

기차에서 안전벨트는 왜 안하는가요?

자가용은 안전벨트가 의무이지만

모든 기차에는 안전벨트가 있지만 의무도 아니고

착용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왜 안해도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23.08.17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차는 레일위를 달리기에 큰 흔들림이 없어 굳이 착용하지않아도 흔들려서 다칠위험이 거의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자동차를 타면 안전벨트를 하는 이유는 자동차의 길은 정해져 있지 않고 또한 앞차와의 시간을 두고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서 차선 변경이나 급정거 급제동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사고가 발생가능해서 자동차에서는 꼭 안전벨트를 해야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기차는 수백통에 달하는 매우 무거운 운송수단이고 선로를 통해서 일정 시간과 간격을 두고 운행됩니다. 그러다 보니깐 선로 변경이나 급정거, 급제동, 기차간의 사고등이 발생될 가능성이 작고 또한 매우 무거운 운송수단이여서 웬만한 충격에 승객들이 쏠리거나 튕겨져 나가지 않기 떄문에 안전벨트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차, 지하철, ktx는 출발이나 정지시 천천히 시간을 두고 속력을 변화시킵니다. 즉, 급발진 급정거의 위험이 없죠. 그리고 기차간 충돌이 없고, 외부의 거대한 물체와 충돌할 확률이 없기 때문에 안전벨트가 필요하지 않아 설치하지 않죠. 또한 전방에 물체가 놓이면 미리 보고를 받거나 멀리서 식별하여 천천히 제동을 걸기 때문에 안전벨트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기차에서 안전벨트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합니다:

    1. 안전성과 신뢰성: 기차는 자체적으로 안전한 운행을 위한 여러 시스템과 장치를 갖추고 있습니다. 기차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이 사용되며, 열차와 레일 간의 상호작용, 브레이크 시스템, 신호체계 등이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벨트의 추가적인 기능이 열차의 전체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비상사태 대응의 어려움: 기차 안에서의 비상사태 시에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승객이 빠르게 대피하거나 구조될 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차 내에서는 비상대피를 위한 별도의 안전 절차와 문제 대응 체계가 이미 구축되어 있습니다.

    3. 피난 및 대피 용이성: 기차에서는 사람들이 빠르게 탑승 및 하차하고, 피난하거나 대피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승객들이 이러한 상황에 능숙하게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피 속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4. 긴 거리 운행 및 편의성: 일부 기차는 장거리 운행을 하며 탑승객들이 오랜 시간을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지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편의성과 편안함 측면에서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공간 및 설계 제약: 기차 내부는 승객의 이동과 편의를 고려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안전벨트를 사용하려면 더 많은 공간 및 설계적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기차 안전 시스템은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와 절차를 갖추고 있으며, 기차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실제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차는 급가속, 급제동이 어렵습니다.

    또 기차는 엄청 무겁고 충격이 전해지지 않아요.

    사고 발생시 신속한 구조와 대피에 방해가 되기도 해서

    기차에는 벨트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차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이고 안전한 운송 수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차는 철로 위를 움직이기 때문에 도로 교통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차는 곡선이나 경사로에서도 안정적으로 운행되며, 충돌이나 추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따라서 안전벨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안하는게 아니라 기차에는 아예 안전벨트가 없답니다. ㅎ

    이렇게 전세계 운송용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차체가 바닥에 고정되어 있어서 자체적으로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차는 철로 위를 이동하는 동안 일정한 경로를 따르므로 차량간 충돌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물론, 탈선이나 산사태등 자연재해로 인한 전복 같은 것은 일어날 수 있겠죠.

    하지만..차제 자체가 무겁고 길기 때문에 자동차와 같이 차량 파손에 의한 2차 피해는 거의 없다고 보고

    오히려, 이런 사고를 만났을때 승객들의 빠른 대피와 구조를 위한 신속한 움직임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에 특별히 안전벨트의 필요성을 못느끼는 것이죠

    또한, 많은 승객들의 움직임과 승,하차, 비상시 대응등 운영의 효율성 측면에서 안전벨트가 오히려

    저해 요소로 작용할 수있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기차는 다른 교통 수단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안전벨트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