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3.12.12

미연준이 기준금리 인하시점은 정확히 어떤 상황이와야 시작될것으로 보이는건가요?

시장에서는 단순히 내년 하반기쯤 금리 인하할것이다 라고 추정하는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미연준지 구체적으로 어떤 경제적 상황 시그널이 와야 기준금리를 인하할것으로 판단하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가상승률이 2%대를 2달 이상은 유지해야 금리를 인하할 생각을 할 것이고,

      현재 미국 경제가 견고하기 때문에 고금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명분이 생기게 됐기 때문에

      경제가 침체로 들어간다고 하면 금리를 인하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시점은 미 연준이 CPI의 목표치로 잡고 있는 2%대의 CPI값에 도달하고 이 이하의 값으로 하락하게 되는 경우에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요. 이와 더불어 실업률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미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 연준 위원들은 지난번 회의에서 자체 인플레이션 2% 목표치를 향해 인플레이션이 분명히 나아가고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더 많은 증거를 요구하고 있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물가가 완전히 잡히고 이와 더불어서

    경기침체 등이 우려가 되어야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컨센서스는 지난주 내년 3월에서 이번주 내년5월정도 첫인하가 50프로이상입니다 아무래도 물가 2프로대 진입하면 인하하지 않을가 싶어용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준도 말이 이래저래 달라지는지라 확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물가 목표는 PCE기준으로 2%입니다. 그중에서도 근원물가를 가장 신경씁니다. PCE물가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금리를 내려도 다시 반등하지 않을거라고 판단할때 금리 인하를 할거 같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유력하게 보는게 내년 5월이긴한데, 알수는 없습니다.

    불과 2년전 금리인상때만 해도 금리인상은 크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다가 갑자기 급격하게 올렸습니다. 연준의 마음은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지금껏 보면 선제적이기 보다는 상황이 이미 벌어지고 나서야 구원투수처럼 등장하고 싶은 느낌은 줍니다.

    정확한 답변이 못되었네요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