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병자호란 당시 주화론과 주전론의 대립에서 주전론이 힘을 얻은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병자호란 당시 일단 청과 화친하고 힘을 키워서 후일을 도모하자던 것이 주화론이었고
강대강으로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것이 주전론이었다고 알고 있는데
주전론과 주화론의 대립에서 주전론이
결국 주전론이 힘을 얻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1636년 청은 조선에 군신 관계를 요구합니다. 그러나 당시 최명길을 대표하는 남인은 종묘사직을 보존하기 위해 강화를 하자는 주화론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윤집 등 서인들은 화이론에 입각하여 명을 배신하고 오랑캐인 청에 사대할 수 없다고 척화론을 주장합니다. 당시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였기때문에 척화론, 즉 주전론을 주장하면서 군신관계를 거부하고 병자호란이 일어납니다.
✅️ 결국 오랑캐가 건국한 청나라와 화친할 수 없다는 '성리학적 이데올로기'에 힘입어 주전론이 힘을 얻을 수 있었지만, 결국 군사적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인조가 항복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