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신라에만 여자 왕이 있었던 이유가 있나요?
고구려 백제 부터 조선까지 대부분의 왕은
남자였던걸로 알고 있는데요.
유독 신라에만 선덕여왕 진덕 여왕 이렇게
여왕이 있었던 걸로 아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에만 유달리 여왕이 있었던 가장 주요한 원인은
신분제도인 '골품제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에는 골품 제도로 신분을 차별하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왕은 성골출신만 될 수 있었습니다. 신라 26대 진평왕에게는 공주만 있고 왕자가 없었기 때문에 27대 선덕여왕이 왕위를 계승하였고 이어서 28대 진덕여왕이 왕위를 계승하였습니다. 29대는 태종 무열왕 김춘추(진골출신)가 왕이 되었습니다. 이후 51대 진성여왕은 두 오빠들이 왕위를 이어오다가 여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준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에만 골품제도가 있었기 때문 입니다. 신라의 골품 제도에서 성골 만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기에 성골이 점차 줄어 드는 상황에 성골 출신 아들이 줄어 들자 성골 출신 딸이 왕위를 이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진덕, 진성, 선덕 여왕이 존재 하게 된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에 여왕이 있었던 이유기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신라에는 '골품 제도'라고 하는 신분 제도가 있었습니다. 왕족에는 성골과 진골이 있었고, 귀족은 육두품, 오두품, 사두품, 삼두품, 이두품, 일두품으로 나누었습니다. 벼슬, 결혼, 옷차림, 집 등 모든 것을 신분에 따라 정해진 대로 따라야만 했답니다.
왕을 뽑을 때도 이 골품 제도를 따라야 했습니. 부모가 모두 왕족인 사람을 '성골'이라 했는데, 성골만이 왕이 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