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냉철한라마35
냉철한라마3523.10.29

우리 금리가 미국 금리 1% 이상 차이가 나는데도 버티는 이유가 뭔가요

기준금리가 1% 이상 차이가 나면 국내 투자됐던 외국 돈들이 많이 빠져나갈 텐데 아직도 우리나라 경제가 버티고 정부가 금리를 안 올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현재 가계부채가 상당하며 부동산 시장도

    좋지 못하기에 금리인상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미국과 금리 차이가 2%이상 차이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달러환율이 그래도 추가 상승하지 않는 이유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리스크가 엄청나게 높지 않고 향후에 현재의 금리차이보다 더 벌어지지 않고 오히려 좁혀질 가능성이 높다 보니 환율의 방어가 되고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 미국과 한국의 기준 금리 차이는 2%입니다. 미국은 5.5%이고 한국은 3.5%입니다.

    이로 인해 달러표시 자산 수요가 증가하여 원화 가치는 지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미국과의 금리차는 대부분 국가들이 2% 내외 차이가 납니다. 일본은 아직도 제로금리고 유로존은 4.5%입니다. 중국의 기준 금리는 3.45%입니다.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라 버티는 것이고 한국은행은 대내외 여건 상 금리 인상이 쉽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한미 금리차가 2%로 벌어지면서 많은 유동성이 한국을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이에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도 많아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것은 가계 및 기업 부채의 리스크가 더 증가할 경우 현재보다 더욱 큰 사화적 파장이 발생할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에 한은에서도 더이상 금리인상을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