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가 일 할 수 있는 기관이 궁금합니다.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데 취업이 가능한 기관을 알려주세요.
어떤 기관이 월급도 좋고 복지 혜택도 좋을까요 알려주세요
사회복지사의 처우는 노동 강도에 비하면 그렇게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어떤 분야에서 근무하느냐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급여가 많지는 않습니다.
2024년 사회복지 시설 종사자 호봉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은 급여보다는 사명감, 자아실현을 목적으로 하지 않나 생각듭니다.
대기업 사회공헌팀, 기업 산하 사회공헌재단, NGO,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노인복지센터, 시니어클럽,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요양원, 어린이집, 보육원, 아동상담소, 아동복지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청소년 쉼터,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청소년 수련관, 청소년 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폭력상담소, 여성쉼터, 모자원, 장애인복지관, 정신요양원, 재활센터, 특수학교, 병원, 가족센터(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승희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가 일할수있는 기관은 너무많죠
복지관도있고, 노인,장애인,아동시설등등
월급은 생각보다 적습니다. 하는일에비해서요
그래도 처우개선이 되고있는상황이긴해요
안녕하세요. 엄자영 사회복지사입니다.
질문해주신 사회복지사가 일 할 수 있는 기관에 대한 답변입니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 관련된 장소에서 근무하게 됩니다.
그리고 월급은 거의 비슷한 것이 정부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안광진 사회복지사입니다.
월급이 좋고 복지혜택이 좋은 기관을 희망하신다면
기업 사회공헌 팀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복지관의 경우 처우가 신규에 경우 열악한 편이며
기업 사회공헌팀은 급여가 높고, 복지혜택 또한 좋은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유미림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면 여러 기관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주요 취업 가능한 기관으로 사회복지관, 요양원, 노인복지센터, 아동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 정신건강복지센터, 학교사회복지실, 공공기관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병원, 재활센터, 자원봉사센터와 같은 다양한 복지 관련 시설에서도 사회복지사가 필요합니다.
월급과 복지 혜택이 좋은 곳으로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운영 복지시설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공무원으로 채용되는 경우 안정적인 급여와 더불어 연금, 휴가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형병원이나 대기업이 운영하는 복지시설도 좋은 복지 혜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관들은 주로 공개 채용으로 사회복지사를 채용하니 정기적으로 채용 정보를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월급이 좋은곳은 없습니다.
최저 임금 수준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장애인. 노인. 아동. 미혼모. 노숙자등의 생활시설과 학교밖 청소년등의 보호시설 같은 곳입니다.
생활시설은 주야 교대근무가 있기 때문에 임금이 그나마 괜찮은 편이지만, 그것도 따지고 보면 최저임금입니다. 야간근로는 통상시급의 1.5배 이기 때문에 급여액만 본다면 괜찮은 편입니다. 시립이나 도립 복지관의 경우는 그나마 대우가 괜찮은 편입니다. 보건복지부 급여기준 으로 지급을 합니다. 하지만 그것도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이라 적용하지 않는곳도 많습니다.
이런 복지관의 경우는 대부분 계약직이며, 사회복지사 1급이라야 그나마 채용이 됩니다. 법인은 그나마 대우가 괜찮은 편이고 개인사업자 시설의 경우는 업무 범위가 넓은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사회복지의 영역은 매우 다양하며, 또한 각 영역마다 직렬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크게 분류하자면 노인, 장애인, 여성, 아동, 이주민, 청소년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하실수 있으며,
위 직군안에서도 일반직, 사회복지직, 기능직등으로 직렬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우선 흔히 말하는 사회복지 일반직을 기준으로 답변드리면
사회복지시설은 크게 1. 단체(임의단체-협회등)와 2.시설(복지관,00센터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설 이름으로 판단할수는 없지만 1. 단체의 경우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일부만 받는 임의단체 성격이 많아서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연봉 또한 불안정한 편입니다. 보통 1년차면 최저임금이라 생각하시면 되고, 연차에 따른 승진이나 호봉 승급도 제한적입니다. 00협회 또는 00원등이 해당됩니다.
반면 2. 시설의 경우 정부로부터 인건비나 운영비를 보조 받아 운영하기 때문에 급여지급의 안정성이 있는 편이고, 각종 수당도 근로기준법에 따라 지급됩니다. 또한 승진이나 호봉상승에 따라 급여가 매년 인상됩니다. 집 근처에 있는 복지관이나 아동복지센터, 요양시설등이 해당됩니다.
시설의 경우를 가정해서 연봉을 설명드리자면 시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맡은 직렬(일반직, 사회복지직, 기능직등)인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어서 일률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사회복지직 평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월급여는 최저임금보다 조금 많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에 매달 수당과 명절 상여등을 합쳐서 계산하면 1호봉 기준으로 3천만원 정도 예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남성의 경우 군 호봉도 인정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