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 아이가 울때 어떻게 달래주고, 대화를 시도해야 할까요?
6세 아이가 본인이 싫은 상황이(놀이터에서 더이상 못놀게 하거나, 장난감을 안 사줄때) 생기면 광광 우는데요. 어떻게 달래주고, 대화를 시도해야 할까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울음으로 감정을 표현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아이의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은 원하는것을 하기 위해서 떼를 쓰는데 마냥 달래기만 해서는 안됩니다. 안되는건 안된다고 가르쳐 주셔야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달래주시면 안됩니다. 육아의 주도권은 아이가 아니라 부모가 쥐고 있어야 합니다. 아이가 운다고 달래준다면 아이는 무슨 일이 생길때마다 울음을 무기로 자신이 원하는것을 요구하게 됩니다. 아이가 울때 니가 마음이 풀리고 엄마와 이야기할 수 있을때 와서 이야기하라고 한 후 한발짝 물러서서 아무말없이 아이를 지켜보세요. 울음이 그치고 기가 꺾여 엄마에게 다가와 이야기할때 까지 기다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뗴를쓰거나 하는것은 아직 자기 감정에 대해서 적절하게 표현하고 기다리지 못해서 그럴수있기에 - 아이에게 적절하게 감정을 표현하고 기다리는 연습을 하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먼저 안아주기, 머리 쓰다듬기, 손 잡아주기 등의 신체 접촉을 통해 안정감을 주시고 왜 우는지 이유를 물어보면서 대화를 시도해보세요. 이때 강요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잠시 동안 혼자서 생각할 시간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그냥두세요 - 집에가야하거나놀이를끝내야되는데못받아드리고우는거라면그냥두시고 아이울음이그치면 귀가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땡깡을 부리는 것 같군요. - 아이가 땡깡을 부리며 운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땡깡을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 그리고 왜 땡깡을 부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의 경우 울고 웃는 과정등을 통해 성장하면서 자아가 - 발달한다고 합니다. 다만 아이가 이유없는 떼를 쓰는 경우에는 단호히 - 훈육하시는 것이 아이성장발달에 이롭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