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푸르르름
푸르르름23.09.24

미국의 기준금리 기조는 고금리가 유지될까요?

기대보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데


금리 인하 기조로 미국 연준이 전환하는 시전은 언제쯤이 될지


언제 기조를 전환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는 2%대이나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3%를 찍고 다시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미 연준이 목표로 하는 2%대의 인플레이션에 도달하고 그 이하인 1%대의 인플레이션 수준까지 안정적으로 도달하고 유지가 되어야지만 금리인하의 조건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보니 이는 최소한 내년 4월쯤이 되어야지만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최근 FOMC 회의 결과를 살펴보면 앞으로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 금리 인하 기조는 내년 하반기에 접어들어야 진행이 될 것으로 보이고 당분간은 현재 금리를 유지하는

      수준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 2분기 말부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하에 돌입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 11월 금리인상과 함꼐 내년 상반기까지는 현재의 금리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리인하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물가상승률이 연준의 목표인 2%대로 내려와야되고 실업률 증가와 경제성장률 하락 등의 경기침체 신호가 있어서 금리인하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 기조 전환시점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미국 연준 FOMC의 점도표를 보면 기준금리 5%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은 대부분 2024년 말~ 2025년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말까지 예상되는 인하 폭은 0.5%p 수준입니다. 반대로 올해 2023년에는 0.25%p 의 추가 인상이 예상됩니다. (현재 기준금리 5.25%~5.50%)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시 원유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고

    물가가 오를 간으성이 큰 등

    이에 따라서 당분간은 미국의

    기준금리 또한 고금리를 유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컨센서스 찾아보니 금리인하 첫 시기를 24년2분기 이후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네요 적어도 내년 2분기까지는 현금리 수준 유지할 확률이 높아보입니당!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 4분기에 인하 가능성이 예상됩니다.


    골드만삭스는 2023년 9월 2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첫 금리 인하 예상 시기를 2024년 4분기로 조정했습니다. 이는 이전 예상인 2024년 2분기보다 2분기 늦춰진 것입니다.


    골드만삭스는 이번 조정에 대해 인플레이션이 Fed의 목표치인 2%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실업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예상대로라면 미국의 고금리는 2024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미국과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023년 말까지 9%에서 7%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또한, 미국의 경제 성장률이 2023년에 2.5%에서 2.0%로 하락하고, 실업률이 3.7%에서 4.0%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