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종합소득세 이미지
종합소득세세금·세무
종합소득세 이미지
종합소득세세금·세무
인자한상사조24
인자한상사조2420.12.04

유튜브나 수익형 블로그 세금은 어떻게 내야 되나요??!

직장인일 경우 유튜브나 블로그(애드센스) 수익의 경우 세금 처리를 어떻게 해야되나요?? 수익이 많지는 않고 아직 잘 모르지만 다달이 늘고있기는해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갑자기 줄이.. 건강조심하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12.05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설민호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구글 에드센스에서 발생하는 수익의 경우 네이버의 에드포스트나 카카오 에드핏과 다소 다른 면이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국내 사업자들이 수익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사업소득으로 보아 3.3%원천징수를 한 나머지에 대해서만 소득을 지급합니다. 따라서 소득의 구분 문제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구글 에드센스의 경우 국외사업자인 구글에서 원천징수 없이 소득을 수익자의 계좌에 직접 입금하기 때문에 소득구분 및 소득세 신고가 다소 모호합니다.

    2. 개인적으로는 구글 에드센스에서 발생한 수익도 국내 사업자들이 사업소득으로 보아 3.3%를 원천징수하고 있는 점에 따라 사업소득으로 신고납부하는 것이 안전해 보입니다. 그러나 수입금액이 2400만원 이하 정도라면 매출이 크지 않기에 기타소득으로 신고납부한다고 하여 국세청에서 이를 부인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실제 세액부담에서 차이도 그리 크지는 않을 것입니다.

    3. 기타소득으로 신고납부할 때의 실익은 필요경비로 60%를 무조건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통상 에드센스 수익을 사업소득으로 볼 경우 필요경비에 산입할 수 있는 비용이 거의 없는 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 경우 보다 상세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최영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튜브나 블로그 수입은 사업소득에 해당할것으로 사료되며, 별도의 근로소득이 있다면 합산하여 5월달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여야 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해당 수입과 연말정산한 근로소득을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시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튜브, 블로그 광고수익은 사업소득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연말정산 기간에 정산한 근로소득금액과 별도로 발생한 사업소득을 합산하여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직접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구글 애드센스 광고수익은 사업소득에 해당합니다. 사업소득은 다음연도 5월달에 근로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마승우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튜브나 블로그 등을 하며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튜브 등을 하는 경우 영리목적으로 사업성을 띄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업소득으로 분류하여야 합니다. 사업소득의 경우 다음해 5월 근로소득과 합산하여 소득세 신고납부를 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성재 세무사/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우선 사업자 등록이 필수적입니다. 1회성이 아니라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올려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필수입니다. 등록시 본인 신분증, 사업장 임대차 계약서, 사업자등록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2. 겸직 금지 위반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업무시간 이외에 회사 업무와 관련 없는 유튜버 활동이라면 해당 내용에 해당되지는 않습니다.

    소득 신고 등이 필요한 사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