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조그만물수리149
조그만물수리14924.01.24

편두통이 요즘 더 심해져서요~ 관련 질문드려요ㅠㅠ

나이
40
성별
여성
기저질환
편두통

안녕하세요

평소 편두통이 있긴했는데

요즘 들어서 심해져서 두통약(진통제)을 자주

많이 먹게 돼서요~

약도 덜 먹고싶은데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편두통 같은 신경성 두통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원인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치료 또한 어렵습니다. 꾸준히 약물 치료를 하면서 관리를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아무래도 스트레스, 피로, 컨디션 저하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그러한 요인들도 관리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두통약을 복용하는 간격이 짧아지고 두통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것 같다면 가까운 신경과를 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편두통의 빈도를 명확히 줄이는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습니다.

    다만 스트레스를 덜 받으시는 생활을 하시고 평소에 숙면하시면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혹시 일주일에 세네번 가까이 약을 드셔야한다면 가까운 신경과에 내원하시어 약제변경 또는 편두통 예방약을 이용한 치료를 상담받아보세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편두통에는 다양한 약물옵션이 있으나 비약물적 요법과 예방법에 대해서만 설명 드리겠습니다.

    비약물 치료 방법은 환자 교육, 유발 인자의 회피, 생체 되먹임(biofeedback), 이완 기법(relaxation)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먼저, 환자 교육은 편두통이 중추 신경계 변화에 의해 나타나며 만성적으로 반복될 수 있는 질환임을 이해시키는 과정입니다. 두통의 빈도와 강도를 고려하여 급성기 치료만 할 것인지 예방 치료를 동시에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환자가 두통 일기를 작성하도록 유도합니다. 두통 일기는 환자 스스로 편두통 유발 인자를 찾고 회피함으로써 두통을 감소시키고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또한 생체 되먹임(biofeedback)은 무의식적인 반응인 인체 내의 생리 변화를 감지하고 증폭시켜 보여줌으로써 수의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두통을 관리하고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완 기법(relaxation)은 근육 이완을 통하여 교감 신경의 활성도를 줄이고 두통 발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방적인 측면에서는 편두통 관리에 도움이 되는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두통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스트레스, 수면 부족, 음식물 유발 요인 등을 제거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에스트로겐 함유 약제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자가 관리 측면에서는 두통 일기를 작성하고, 이완 운동을 통해 근육 이완과 스트레스 완화를 도모하며,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편두통을 비약물 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환자와 의료 전문가 간의 협력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