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물가 상승률이 더딘 이유는 무엇일까요?
최근 한국의 물가 상승률의 속도가 다소 늦춰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방금나온 미국 cpi를 보면 미국은 cpi 증가세가 꽤 나오는듯 한데요. 한국은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물가 상승은 올라가는데요 소비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미국의 경제는 양호한데 반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제는 좋지 않은 이유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미국은 물가가 상승하면서도 내수경제가 활발하고 근로자들의 임금도 크게 인상되고 있어 높은 물가상승 와중에도 경제는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내수경기가 부진하고 국민들의 소비여력도 크지 않아 미국에 비하면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물가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더딘 이유는 이미 이전에 너무 많이 올랐기 때문에 될 수도 있습니다. 금리를 동결함으로써 더 이상의 통화의 양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또한 물가 생성률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더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도 1월 물가 상승률이 다시 스파크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체감되는 물가 역시 더디게 오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한국의 물가 상승률 속도가 늦춰지는 이유는 결국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그만큼 부족하다는 것을 반증하며, 그 이유는 주택담보대출 등에 따른 대출 이자를 내기 위해 상대적으로 소비를 못하는 가계가 많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내수 부진이 원인일수 있습니다.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내수가 부진하면서 수요 측 물가 상승 압력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기 침체의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미국과 유사하게 금리 기조를 유지했지만, 한국이 미국에 비해서 소비자들이 지출을 억제하고 있으며
한국 원화가 달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경우가 많아서 수입 물가가 급격히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글로벌적인 경제 성장 둔화로 원자재 가격 안정화가 수출 가격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에 따라서 물가 상승률이 낮게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최근에는 경기 둔화로 인해 총수요가 감소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되었고
원유와 같은 생산재의 수입물가가 하락하면서 생산비용이 감소하였고
이는 물가 상승률 둔화에 기여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이 안정화를 찾아가는 이유로는 유가 안정과 기저효과로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농축수산물 상승세가 둔화된 것으로 추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