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벨푸어 선언은 어떤 내용의 선언인가요?
영국의 벨푸어 선언은 어떠한 내용이 선언인지 궁금합니다.
벨푸어 선언은 어떠한 배경에서 하게 되었는지 , 결과도 함께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밸푸어 선언은 1917년 11월 2일,
아서 밸푸어가 영국 국적의 유대계 유력
인사 월터 로스차일드에게 보낸 서신이다.
서구 열강 중 처음으로 영국이 팔레스타인에 이스라엘 건국을 공식 지지한 사건으로
'이스라엘 건국'의 촉매로 작용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영국이 팔레스타인에 이스라엘의 "민족적 고향"을 건설하겠다는 아이디어에 지지를 보낸다.
1917년의 밸푸어 선언문은 이만한 파장을 몰고 온 문서 치고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짧았다. 영국 외무부 장관 밸푸어 경이 영국내 유대인 사회의 대표 격인 로스차일드 경에게 보낸 한 페이지짜리 서신으로, 내각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민족적 고향"("국가"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다)을 건설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내용이었다.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민족적 고향을 건설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기존 비유대인 주민들의 민권과 종교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행위가 행해지지 않을 것으로 명확히 이해한다…" 이렇듯 모호하고 모순적인 표현 때문에 이후 중동은 광란에 빠져들게 된다.
밸푸어 선언은 제1차 세계대전 와중에 영국이 아랍 지도자들과 접촉하고 있던 민감한 시점에 나왔다. 영국과 카임 바이츠만을 주축으로 하는 시오니즘 로비스트들은 아랍인들이 적국인 오스만 투르크에 대항하여 봉기하도록 독려하고 있었다. 바이츠만은 전쟁에 필수적이었던 아세톤-무연 폭발물은 코르다이트의 핵심 성분-합성 과정을 개발한 뒤, 그 대가로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고향 건설을 지지해줄 것을 영국 정부에 요청하였다.
전쟁이 끝난 뒤 영국은 팔레스타인을 국제동맹 위임통치령으로 한 뒤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이주를 허용했다. 1930년대 들어 유대인의 팔레스타인 이주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유럽에서는 반유대주의가 고개를 들었고, 팔레스타인에서 아랍인들의 반발에 부딪힌 영국은 뒤늦게 유대인들의 이주를 제한하려 했으나 별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네이버 지식백과] 밸푸어 선언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2009. 8. 20., 마이클 우드, 피터 퍼타도, 박누리, 김희진)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벨푸어 선언(Declaration of Balfour)은 1917년 11월 2일 영국 외무장관인 아서 벨푸어(Arthur Balfour)가 발표한 선언문으로,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영국 정부가 지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선언문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발표된 것으로, 이후 유대인들이 이를 기반으로 이스라엘의 건국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 선언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한다."
하지만, 이 선언문은 이후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유대인들과 아랍들 간의 갈등을 일으키게 되었고, 이후 이스라엘의 건국과 관련된 많은 분쟁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밸푸어 선언은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정부가 발표한 공개 성명입니다. 이 선언은 당시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을 위한 국가적 고향" 설립에 대한 영국의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선언문은 당시 영국 외무장관이었던 아서 밸포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밸푸어 선언의 배경에는 시온주의 운동, 중동에 대한 영국의 이해관계, 팔레스타인에서 계속되는 아랍과 유대인 공동체 간의 갈등 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밸푸어 선언의 결과는 시온주의 운동과 1948년 이스라엘 건국의 중요한 기폭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 선언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계속되는 분쟁에도 기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