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이제는봄이여
이제는봄이여

현재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의 분쟁의 시작이 된 벨푸어 선언은 어떤 배경으로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

최근 가자 지구에서 여전히 진행중인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분쟁이 있는데

이런 양 진영의 분쟁의 시초라 할 수 있는 것이 벨푸어 선언이라고 하는데

벨푸어 선언은 어떤 배경으로 이뤄진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벨푸어 선언은 1917년 영국의 외무장관 아서 제임스 벨푸어가 유대인 지도자 월터 로스차일드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이는 1차 세계대전에서 유대인들이 영국의 전쟁 수행에 지원을 받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그러나 이 선언은 유대인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설립을 지지를 표명한 것으로 앞선 1915년 팔레스타인에 아랍인 독립 국가 건설을 지지한 맥마흔 선언고 모순되어 중동 지역 분쟁의 원인을 제공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영제국의 자치령들은 주권이 없는 영국의 자치 지역으로서, 영국이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자 별다른 절차 없이 자동으로 참전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자치령은 큰 희생을 치렀고, 이들은 그 보답으로 자치권 확대를 요구했다고 합니다. 196년 캐나다 자치령 총리 매켄지 킹)자유당)은 당시 캐나다 총독 줄리언 빙(Julian Byng)에게 의회 해산과 조기 총선을 요구했는데 그러나 빙 총독은 이를 거부했고 총독은 본국을 대리하는 직책으로서 재량에 따라 이를 거부할 권리가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자치령 내의 '최종적인 헌법적 권한'(ultimate constitutional authority)이 총독에 있느냐, 총리에 있느냐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는데 결국 의회 해산은 무산되고 매켄지 킹은 총리직을 사임했으나, 같은 해에 그 다음 총리 아서 미언(진보보수당)에 의해 의회는 해산되었고, 여기서 자유당이 승리해 매켄지 킹은 총리 자리를 되찾았습니다. 이에 대해 1926년에 제국회의를 주재하던 아서 벨푸어 추밀원장의 이름으로 발표된 선언이 1926년의 밸푸어 선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