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와 다른 나라 증시의 다른 점을 알고 싶어요
한국증시는 왜 변동성이 클까요? 중국주식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요? 중국주식의 미래는 어떻게 보시나요? 현재 어느나라 주식을 추천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증시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변동성이 높은 이유는 규모에 비해 개인투자자들의 참여
비중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단기 투자성 자금이 지나치게 비중이 높다보니 작은 이슈에도 크게 흔들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증시와 다른나라의 증시의 경우 운영시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 시차에 따라 시작하는 시간이 다른점이 특징이고, 각 나라증시의 특징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증시의 경우 상하한가의 제한이 있습니다. 다만 미국의 주식시장은 상하한가 제한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상하한가 제한이 없으니, 보다 투자자의 관심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이 있지만, 하락에도 제한이 없다고 볼 수 있죠.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고 외국인 자금 유출입에 민감해 변동성이 큽니다. 미국, 중국은 기관 중심이라 안정성이 높습니다. 장기 성장성은 여전히 미국>한국>중국 순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외국 자본에 의해서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매우 큰 시장입니다. 또한 주식 시장의 규모도 미국에 비해서 매우 적기 때문에 외국 자본에 의해서 변동성이 심해지게 됩니다.
주식은 우선 시장 규모가 크고 경제력이 좋은 나라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에는 전 세계 시장을 상대로 경제 규모가 매우 큰 나라이기 때문에 미국 주식이 미래에 봤을 때 더 안정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의 성숙도에 따른 자산 시장의 성숙도가 연계 되어 변동성의 크기가 좌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증시 변동성은 비슷하게 미국 등 최선진국 시장 대비 10~30% 더 큰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경우 글로벌 경기에 민감한 산업에 주력 산업이 집중 되어 있어서 미연준의 금리정책, 글로벌 경기 사이클,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온전히 노출되어 있고 특히, 통화가 기축 또는 준기축통화가 아닌 점도 변동성을 부추기는 영향 중에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증시와 다른 나라 증시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 중에 하나는
우리나라 증시에는 상한가, 하한가 제도가 있는데
미국 등의 증시에서는 이런 상한, 하한 제도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