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 음식을 전혀먹지않아 고민입니다
7세아들이 매운음식을전혀못먹습니다 김치는당연하고 고추가루가 들어간음식은 전혀못먹습니다 괜찮은건가요?
뿐만아니라 야채도 입에 않대네요 완벽한육식주의자인데 건강상문제가문제가있는건아닐지걱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굳이 아이가 못먹은 것을 억지로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매운맛을 즐기지 않는다고 성장에 악영향이 가지는 않습이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은 너무 맵고 자극적인 음식을 굳이 먹이려고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영양을 위해서 김치등을 씻어서 주셔도 좋지만 아직까지는 크게 걱정 앙하셔도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매운것을 못먹는것은 어쩔수없다고 하더라도 야채를 먹지 않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고기만 섭취하게 되면 영양불균형이나 비타민 부족이 생길수있기에
가능하면 조금씩이라도 야채를 먹이는것이 좋으니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심리적으로 매워 보이는 빨간색이 들어간 음식 자체를 아예 거부를 하는 것 같습니다.
고기를 좋아하는 아이라면, 소스를 아주 살짝 매운 걸 넣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많은 아이들이 편식을 하곤 합니다. 특히 4세~6세 아이들에게 많이 찾아 볼 수 있는데요 햄과 고기만 먹으려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주먹밥을 만들어서 먹여보는건 어떨까요?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 맛이 강하다면 아이들이 거부감 없이 쉽게 접근 할 수 있을 겁니다. 김치도 조금씩 섞어봐 주시구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매운음식을 못 먹는다면 너무 억지로는 먹이지 마세요.
야채를 싫어하면 고기와 함께 요리해서 조금씩 먹게하는 방법을 사용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질적으로 봤을 때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들이 질문자님의 아이처럼 특정음식만을 고집하거나 편식이 심한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맛과 향이 싫을 수도 있고, 식감이 싫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당연히 육식만 고집한다면 영양 불균형으로 아이의 건강에 좋지 않을 것입니다.
같은 재료라도 굽거나 볶는 것은 먹어도 찌개나 무침은 싫어하는 경우도 있고 어떤 날은 먹기도 하고 어떤 날은 안먹기도 합니다.
저희 아이도 참 채소를 안먹어서 걱정이였는데요,
저는 한가지 재료를 예를 들어 호박이면 호박을 하루는 볶아보고 하루는 찌개에 하루는 부침개 등으로 다양한 시도를 한 끝에
아이가 그나마 선호하는 것을 알아내어 종이에 적어놓곤 했습니다.
예를 들어 브로콜리도 무침은 좋아하지 않았지만 다져서 볶음밥이나 계란말이에 넣어주면 먹곤 했습니다.
그렇게 아이가 먹을 수 있는 채소 반찬을 늘려가시기 바랍니다.
식사를 준비해주시는 분의 노력이 필요함과 동시에 격려와 응원도 필요합니다.
제가 만든것을 아이가 먹지 않아 속상할 때 저희 남편이 참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남는 건 내가 다 먹을테니 걱정말고 다양하게 만들어서 아이에게 제공하라" 고 말입니다.
질문자님께서도 방법을 찾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입맛이 순한가 보군요. 너무 강요하지 마시고 매운 것 안 먹는 것 보단 편식을 하지 않도록 신경 써줘야 합니다.
7살이면 내년에 학교에서 급식을 먹을 건데 급식에 매운 반찬이 있어서 매운 거 못 먹었던 아이들도 친구 먹는 거 보고 따라서 먹는 경우도 많으니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카레로 도전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카레 특유의 향과 맛에 익숙해지면 아이들도 계속 카레를 찾게 될수도 있습니다. 처음 시도할 때에는 가루 제품보다는 부드러운 맛의 일본식 고형 카레가 거부감 없이 먹기 좋을겁니다. 가루 카레를 이용한다면 처음에는 ‘순한 맛’부터 사용하고 카레에 생크림이나 우유를 조금 넣으면 맛이 한결 부드러워지니 매운맛에 도전하기 쉬울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