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튼튼한호랑나비26
튼튼한호랑나비2621.02.17

보험을 가입했는데 소득대비 적정가입 보험료는 얼마로 설정하는게 나을까요?

소득이 300만원인데..가족은 배우자와 자녀 1명있습니다.

소득대비 보험료는 어느정도 잡는게 합리적일까요?

지급 보험료가 100만원 넘게 나가고 있어어 가계에 많이 부담이 되어서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 대부분의 많은 전문가들은 보험료 지출액은 수입 대비 5% ~ 10% 가 적당하다고 이야기합니다.

    - 하지만 본인의 투자성향, 재무상태와 자산분배, 위험의 헷지 등의 중요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 보험은 오랜기간 납입해야 하는 상품으로 장기적인 시각에서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서안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험은 지극히 주관적입니다.

    고객은 같더라도 설계사에따라 설계가 완전 달라질 수도 있고,

    비슷한 소득수준이더라도 고객에 따라 월 납입보험료도 천차만별입니다.

    제 주변만 봐도 똑같은 나이에 누구는 보험이 하나도 없고, 누구는 벌어서라도 보험료를 내기위해 취업을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전자는 보험의 필요성을 전혀 못느끼는 사람이었고, 후자의 경우는 보험의 필요성을 깊이 느껴 그만큼 우선시 한거겠지요.

    지금 가입된 보험이 어떤 보장들이고, 100만원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

    소득의 1/3이나 지출이 되는데 왜 나가는지는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주변에 지혜로운 설계사가 계시다면 정확히 한번 점검 받으시고, 네이범님께서 꼼꼼히 결정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보험은 가입도 중요하지만 해약도 중요하다 생각 하거든요.

    요즘은 보험의 활용도도 많다보니 빠른시일내에 점검 받으시고 결정 하시는게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모쪼록 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윤현준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험료가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네요. 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실비보험 , 암보험은 필수이며 치아보험도 같이 하시면 더 좋습니다.

    자녀가 있으시니 어린이보험도 가입하시고 가입비용은 3인 기준 50 정도면 적당합니다.

    어린이보험 10 , 인당 20(실비 , 암보험)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추보영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득대비 7프로 10프로를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맞는 말이라고 해도 소득이 300만원이면 보험료가 30

    소득이 1000만원이면 최대 보험료가 100만원입니다 근거없는 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험은 위험을 대비하는 것입니다

    내가 감기에 걸리거나 위염이 걸렸다고 해서 큰 비용이 나가거나 장기적으로 치료를 받거나

    실직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가장은 사망에 대한 보장자산 5천만원에서 1억정도, 암 뇌혈관 심혈관 질단시 2~3천만원

    그리고 실비정도면 충분합니다. 제가 적은 진단비는 그게 중요한 수치가 아닙니다

    개인이 정하는 거죠

    이렇게 보험의 상품을 별도로 가압하는 것도 유지율을 높이는데 주요합니다

    배우자도 최소한 실비정도+암보험 ,아이도 비슷합니다

    종신보험과 연금보험은 지금과 같이 저금리로 유지되고 앞으로도 저금리가 이어질 경우에

    사실 의미없는 수익입니다 없는거보다는 낫겠죠

    처자식이 있는 나이대라면 많아야 가장의 나이대가 40-50이하 일테고 보험료는

    부부합산 20~30,아이는 5만원도 안되겠죠

    종신보험 유니버셜 연금보험 없애고 정기보험(순수보장형)으로 가장의 사망시 보장자산이 있는게

    낫습니다. 건강상 문제도 없고 배우자도 경제활동을 할 수 있다면 보장자산도 필요없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한국경제상황과 상관없이 금리를 높일 수도없고

    저금리는 계속 될거니 보험에 과도하게 연금이나 종신보험금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보험사

    직원 월급주는 거라 생각합니다

    지금 보험료가 백만원이상 나간다고 하시니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조금 손해인거 같아도 쓸모없는 것은 해약하시기 바랍니다

    장기적으로 훨씬 덜 손해인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나라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평균적으로 소득대비 8%~10%의 금액을 가장의 경우 15%까지도 보장성 보험을 가입하시는게 이상적 입니다

    그런데 지금 혹시 질문자님께서는 본인 보험료 외에도 배우자분과 자녀의 보험료를 내주고 계시나요?

    그렇다면 연금,저축 목적 금액을 포함한게 아니시라면 평균적으로 금액을 다른 사람들에 비해

    보험료로 많이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정말 필요한 항목만 남기고 불필요한 부분은 정리를 하셔서 금액을 조절해서

    부담이 가지 않는 선에서 유지를 하셔서 보장을 챙겨가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질문자님 본인+배우자+자녀분의 보장성 보험은 아무리 많아도

    70이내로 낮추시는게 부담이 조금이나마 줄어 드실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점이나 가족들 보장분석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