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올곧은꽃무지224
올곧은꽃무지224

현재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해 경기가 매우 안좋아졌는데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야 회복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경기가 매우 안좋아졌습니다. 이런 경기침체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야 회복이 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특히 2025년 4월 3일부터 시행된 25% 상호관세와 일부 국가에 대한 50% 관세는 글로벌 무역 전쟁을 촉발하며 경기침체를 가속화했습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미국 GDP가 0.81% 감소하고,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투자 위축으로 단기적인 침체가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 이후 대공황이 약 3~5년 지속되었지만, 현재는 글로벌 공급망과 중앙은행 대응력이 다르기에 회복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IMF는 2025년 글로벌 성장률 전망을 3.3%에서 소폭 하향 조정했으나, 즉각적인 전면 침체는 피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회복 시기는 보복 관세의 강도와 협상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ax Foundation은 관세와 보복 조치가 완화되지 않으면 미국 경제가 12년 내 회복되기 어렵다고 경고했지만, 연준의 금리 인하(예: 2025년 5월 예상)와 같은 정책 대응이 있다면 1218개월 내 반등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과거 2008년 금융위기 회복(약 2년)과 비교하면, 현재 침체가 무역 충격 중심이라면 협상이 타결되거나 공급망이 재편되면서 2026년 중반쯤 안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가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해 단기 조정을 유도할 경우, 이보다 빠를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한 경기 침체의 회복 시간은 정책 지속 기간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도에 따라 달라질 전망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인상이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투자 위축을 유발하며, 특히 미국 내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자동차전자 산업의 생산 차질이 누적됩니다. JP모건은 관세 충격이 공급망 붕괴와 시장 심리 악화를 통해 경기 침체 가능성을 60%까지 높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중장기 회복은 관세 정책의 일시성 여부에 좌우됩니다. 골드만삭스는 협상을 통해 일부 관세가 조정될 경우 2025년 말부터 점진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보편관세 장기화 시 1% 미만의 GDP 성장률이 지속되며 완전한 회복에 수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특히 미중 간 보복 관세 확대와 EU 등 추가 관세 대상국 확장 시 글로벌 경기 동반 하락으로 인해 회복 기간이 더욱 길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라 전세계 경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주가 등에 선반영되고 있는 상황이며, 우리나라 또한 주요 대기업들의 미국 수출이 부진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는 부분보다 어떻게 협상을 진행하여 미국의 관세정책이 조금 더 완화될 수 있을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고, 일단 실제 본격적인 관세부과가 이루어지는 4월9일까지의 추이를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