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뽀로로
뽀로로23.03.01

아이에게 무조건 칭찬해주는게 좋은건가요?

사소한 걸로도 아이에게 무조건 칭찬해주는게 아이 정서나 발달에 좋은건지 궁금합니다.

어디에선가 사소한건 칭찬하지 말라고 들은 기억이 얼핏나서 헷갈리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사소한 일에도 칭찬을 해주는것은 자존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너무 지나친 칭찬은 독이 됩니다. 매사 너무 지나친 칭찬을 하면 진짜 칭찬을 받아야 할 부분에 칭찬을 해줘도 효과가 떨어집니다.

    그리고 칭찬을 할때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칭찬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의도를 가지고 칭찬을 하지 마세요. 잘못된 칭찬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으니 바른 칭찬으로 자존감높은 아이로 키우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칭찬을 먹고 자랍니다. 제대로 된 칭찬은 많이 할 수록 좋습니다.그런데 과잉 칭찬,추상적인 칭찬,목적성 칭찬은 오히려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과잉 칭찬이란 지나친 칭찬으로 부담감과 거부감을 들게 말하는것입니다. 추상적 칭찬은 그래~잘했네.좋네~.처럼 애매하게 추상적으로 말하는 것입니다.목적성 칭찬은 아이의 행동에 대한 부모님의 기대가 반영된 칭찬으로 부담감이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가 있습니다.그럼 좋은 칭찬은 어떤 걸까요? 좋은 칭찬은 아이들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한 후에 아이의 행동 그 자체를 칭찬하는 것입니다. OO가 일찍 일어났구나,밥을 남기지 않고 다 먹었구나,와 같이 행동 읽기를 통해 부모님으로 부터 관심을 받고 인정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구체적으로 칭찬하기가 있는데 아이들의 행동을 관찰 한 후에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칭찬을 통해 칭찬의 진정성을 느끼고 자발적인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됩니다.이런 칭찬을 통해 부모님은 아이의 긍적적인 행동 습관이나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그 다음은 과정에 대해서 칭찬하기입니다.우리는 흔히 결과물을 가지고 칭찬하는데 결과만큼 중요한것이 과정입니다. 과정이 있어야 결과가 있으니까요.결과뿐아니라 과정도 함께 칭찬하면 아이의 부담도 줄고 건강한 동기 유발도 가능합니다.무조건적인 칭찬보다 때에 맞는 칭찬을 하여 아이의 성장을 도울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1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조건적인 칭찬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칭찬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며

    또한 구체적으로 칭찬해줘야 합니다.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고, 아이의 존재의 소중함을 칭찬해주십시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잘했을 때는 긍정의 메세지를 전해주는 것은 좋습니다.

    그러나 무조건 잘했다고 칭찬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에는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실수를 했음에도 잘했다고 한다면 그 아이는 똑같은 실수를 번복 하게 될 것입니다.

    정말 잘한 일에는 칭찬을 그렇지 못한 행동에는 잘못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작은 일에도 칭찬을 해주는 것은 아이의 동기부여를 주기 위해서 그런 것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지요. 바깥을 나가기 무서워 하는 아이가 현관의 문을 열고 발 한발짝 옮겼다면 잘했다고 칭찬해 주는 것

    이것은 사소한 일인데도, 아이가 잘한 행동으로 여기기 때문에 칭찬을 해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아이가 조금씩 성장하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말을하거나 작은 행동에 칭찬하며 아이의 자신감을 키워주려는 부모님들이 많이 있지만

    칭찬도 적절한 타이밍이 존재합니다.

    외모나 성격 등 타고난 선천적 부분에 대한 것이 아닌 행동과 그 과정에 집중하여 칭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미 건조한 의무적인 칭찬이 아닌 마음을 담은 진심이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작은 행동 하나 하나에도 아낌 없는 칭찬과 격려를 해줘야

    아이의 자존감도 올라가고, 성취감도 올라갈 것 입니다.

    아이의 결과물 보다는 과정에 칭찬을 해주는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자존감 및 성취감 형성을 위해서 칭찬은 필요합니다

    소극적인 아이들은 칭찬이 필요합니다

    주눅들거나 자존감이 낮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 칭찬의 강도도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칭찬을 해주는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당연시 해야되는것들에 대해서는 굳이 칭찬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언급하신 것처럼 사소한 이유로 칭찬을 하다보면 아이가 거의 모든 행동에 대해서 칭찬을 기대하게 됩니다. 어쩌다가 한번 칭찬을 놓치게 되면 아이는 크게 상심하게 되기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올바른 행동에 대해 구분짖기 힘들어지게됩니다. 아이의 행동과 언어에서 눈에 보이게 잘하는 행동을 칭찬을 해주셔야합니다. 그 외의 행동은 당연히 해야하는 행동이됩니다. 칭찬대신 전하고픈 마음이 있다면 /ㅇㅇ가 도와줘서 엄마가 편해졌구나/ 정도로 전해주면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에게도 칭찬은 춤을 추게 합니다.

    부모의 칭찬 한마디에 방방 뛰면서 좋아하는 모습을 상상해보세요.

    적절한 칭찬은 아이에게 힘을 주고 자존감과 행복감을 느낄수 있게 해줍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지나친 칭찬을 한다면 아이가

    칭찬을 받지 못하면 좌절할 수도 있는 등

    무조건적인 칭찬은 하면 안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듯이 누구나 칭찬 받는 것은 좋아합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칭찬이 아닌 아이에게는 구체적인 칭찬을 해주셔야 합니다.

    구체적인 칭찬이란 00이가 그림을 잘 그리는 구나 가 아닌 00이가 새에게 파란색 날개를 달아주니 새가 더 예쁘게 되었구나 / 00이가 블럭으로 집을 만들어서 인형들이 좋아하겠구나 이런 식으로 아이의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칭찬을 해주셔야 좋습니다.

    구체적인 칭찬은 아이의 자존감과 성취감을 높여주고 집중력을 길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