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머스크가 한국 출산율에 인류 최대위협이라고 한이유는?

일론머스크가 자신의 엑스에 한국 저출산을 강조하며 우리사회으 가장 큰위협이라고 경고했다는데요 합계 출산율 0.68 얘기하면서 출산율 경고를 하는데 우리사회에 어떤메시지를 전달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론머스크는 저출산은 문명 자체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최대 리스크라고 하며 한국이 이 대상국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실제 우리나라의 저출산은 사회문제를 넘어서 노동인구 감소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산업 전반에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근본적 사회 구조 변화가 필요하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으로 인구 감소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머스크는 인류 존속과 경제 지속성 측면에서 인구 감소를 최대 위협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 활동 인구가 줄어드는 한국의 현실을 세계적 경고 사례로 언급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출산율이 인류 최대위협이란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인류라기 보다 우리나라에 위협이 되는데

    실제로 출산율이 낮다는 것은

    사회적, 경제적인 면에서 치명타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전 세계적 저출산 현상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특히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상황을 지적했는데요. 추세가 바뀌지 않으면 문명은 사라질 것이라며,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단기적으로 인공지능(AI)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세계 인구의 붕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세계에서 출산율이 압도적으로 낮은 0.68수준이며 이는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며 다른 저성장국가도 1명내외정도 수준입니다

    즉 한국은 이제 역피라미드 구조로 바뀌고 있는 구조이며 생산가능인구가 빠르게 감소되는 중입니다 거기다 인구의 빠른 노령화로 인하여 이들의 생산하는 생산산출량은 감소하게되며 또는 이들의 4차산업이 요구하는 기술적 숙련도가 낮아서 더더욱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의 기여도가 낮아진다는 점입니다

    근데 이들로 들어가는 각종 부양비는 더 들어가기 때문에 국가의 비용이나 예산이 들어가게되고 이는 결국 향후 수입은 줄고 지출만 늘어나면서 국가의 적자폭은 커지고 경제 산출량은 낮아지니 잠재성장률은 더더욱 감소하게 되는 암울한 환경으로 바뀌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현저하게 낮은 출산율이 향후 국가발전과

    미래세대에 대한 불투명성이 강하다고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보이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갑자기 저출산 얘기가 왜 나오지 싶었는데 머스크가 던진 말엔 나름 맥락이 있습니다. 전에도 인류 멸망의 진짜 위협은 핵이 아니라 출산율이라고 말해왔던 사람이니까요. 한국 출산율이 0.68로 세계 최저라는 점을 콕 집어서 언급한 건 그냥 통계 얘기가 아니라 이 상태로 가면 국가 존속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는 경고처럼 들립니다. 특히 기술 중심 사회일수록 인구 기반이 무너지면 경제나 군사력 다 같이 약해진다는 논리라서 단순히 사회 문제를 넘어서 인류 전체 위기라는 식으로 확장한 겁니다. 한국을 예로 들었지만 결국은 전 세계가 같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 했던 걸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머스크는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0.68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이라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면 한국 인구의 3분의 2가 한 세대마다 사라질 것, 3세대가 지나면 한국 인구는 현재의 3~4% 수준으로 줄어든다고 예측하며 인구 붕괴를 경고했습니다. 머스크는 저출산 문제가 단순히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인류 문명의 존속 자체를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라고 주장합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인공지능이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세계 인구 붕괴가 훨씬 더 심각하다고 보았습니다. 인구가 줄어들면 노동력 부족을 넘어 사회 유지에 필요한 기본적인 인프라와 시스템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표현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실제로 지금 상태로 흘러간다면 한국인은 멸종될 위기에 놓였습니다

    • 큰 위협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는 노인비중이 가장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매우 적은

      젊은 인구들이 이들을 부양해야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결과적으로 우리나라는 출산율을 지금이라도 늘리지 못하면 그 어떤 정책이나 기술도

      우리나라를 살릴 수는 없습니다

    • 또한 이미 중간에 사라진 인구가 갑자기 증가하지 않는 이상 공백의 10년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지금의 어른들이 고민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보이는 그대로입니다.

    합계 출산율 0.68이라는 수치는 사실상 두세대 정도 지나면 그 나라가 없어질 수준의 수치입니다.

    수치만 조금 다를 뿐 저출산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인 문제이고 그중에 우리나라가 유독 두드러지는것이기에 저출산을 사회문제로까지 보는 시각이 많은것이고 일론머스크도 우려 하나 보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