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에 이런 기계가 있다고 한다면 어떤소재일까요?
사람A의 몸에 기계를 심어서 그 사람A의 생각과 감각을 다른사람B에게 보내기도 하고
반대방향으로 다른사람B의 생각과 감각을 사람A에게 보내기도 할때
사람A의 생각과 감각을 여러사람이 동시에도 느낄 수 있을때
기계는 사람몸에 있어도 자동으로 충전될때
이런 기계가 어떤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을까요? 금속이 아닐 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사람 몸에 삽입되어 생각과 감각을 전달하고 자동으로 충전되는 기계는 금속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 적합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먼저, 폴리머 및 고분자 소재는 유연성과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며, 체내 환경에 잘 적응해 전기 신호 전달에 유용합니다.
생체 분해성 소재로는 마그네슘이나 아연 기반의 코일과 전극이 사용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인체에 무해합니다.
또한, 압전 소재인 지르콘산 티탄산 납(PZT) 같은 나노리본은 심장 박동이나 장기의 움직임을 이용해 전력을 생성할 수 있어 자동 충전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인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며, 전기적 성능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내구성도 고려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우선 인체 내부에 있어도 몸에 이상을 주지 않는 중금속이 아닌 재질 등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전파 등의 전도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 금속 재질이 있어야 하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이런 기계는 생체 호환성 소재로 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오 세라믹,폴리머,나노소재 등이 사용될수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인체와 잘 결합하고 , 전기적 신호 전송에 적합하며 충전 방식으로는 무선전력 전송 기술이 활용될수있습니다. 또한,전도성이 우수한 그래핀이나 메탈 나노와이어와 같은 소재도 고려될수있습니다. 금속뿐만 아니라 다양한 혁신적인 소재가 사용될 수있으며, 이는 기계의 기능성과 안정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 가능한 소재로는
금속, 세라믹,고분자(폴리머),생체재료, 압전소재 등이 구성될수 있으며
각 소재는 특정기능과 특성을 제공하여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수 있습니다.
특히 생체 적합성과 신경 인터페이스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래에는 더욱 발전된 복합재료가 사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련 기술들은 현구 연구되고 있는 생체 삽입형 장치 및 무선 충전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향후 인체와 기계 간의 상호작용을 더욱 발전 시킬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