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최근 출산율은 어떤 변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작년 같은 경우 출생율이 0.75명이었습니다.

인구 차원에서는 자연감소가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최근 출산율은 어떤 변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최근 몇년 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어짐이 큽니다.

    이 합계출산율이란 한 여성이 생애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를 뜻하는 지표로 이 수치가 2.1 이하로

    떨어지면 인구가 자연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출산율 저조 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도 중요하지만

    그 정책의 시행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효과를 주는 부분의 도움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저출산이 심각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팬데믹이 시작되어 결혼과 출산이 심각한 상황이었으나 코로나 19 이후 혼인건수가 회복되면서 2024년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전년대비 증가하였습니다. 현재 출생아 수는 11개원 연속 증가하고 있어 전문가들은 2025년 합계출산율은 0.79명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2020년대의 출산율 통계를 살펴보면,

    • 2020년 : 출생아 수 27만 2,337, 합계출산율 0.837

    • 2021년 : 출생아 수 26만 562, 합계출산율 0.808

    • 2022년 : 출생아 수 24만 9,186, 합계출산율 0.778

    • 2023년 : 출생아 수 23만 28, 합계출산율 0.721

    • 2024년 : 출생아 수 23만 8,343, 합계출산율 0.750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계속 감소하다가 2023→2024에 소폭 상승하였으나 합계출산율이 0.7~0.8 사이라는 것에서 심각한 저출산이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최근 한국 출산율을 지속적으로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합계 출산율은 약 0.75명으로 전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한 수준입니다. 이는 결혼 연령 상승, 경제적 부담, 육아와 주거 문제, 일과 가정 양립 어려움 등이 주요 원인으로 인구 차원에서는 자연감소가 점점 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