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이번 3월 국내수출 항목에서 크게 증가한 품목과 상반기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것으로 보이나요?

이번 3월 수출지수가 발표되었다고 하던데요. 지표도 긍적적이라고 하던데 국내수출 항목중 크게 증가한 품목과 어느지역에서 크게 반등하고 있는것인지 이게 일시적인지 지속적으로 증가할것으로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3월 수출이 작년보다 3.1% 증가하면서 6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은 117억달러로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컴퓨터 등 4대 정보기술(IT) 분야 품목의 수출 증가율도 모두 동시에 플러스를 나타냈다. 2분기에도 반도체 등 IT 품목과 선박의 수출 증가, 작년부터 이어온 자동차・일반기계 등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세가 지속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3월 수출에서 단연 반도체가 으뜸이었습니다. 반도체는 21개월만에 최고치를 찍었을정도로 상승폭이 컸습니다.

    반도체는 5개월 연속 수출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3월 반도체 수출액은 117억달러로 2022년 6월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해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IT 수요가 급증했던 2022년 수준까지 회복됐습니다.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 등 IT 전방 산업의 수요 확대 흐름 속에서 낸드를 중심으로 반도체 단가가 상승하고 수출 물량도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수출액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컴퓨터 등 4대 정보기술(IT) 분야의

    품목들이 현재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고 계속 증가세를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10억 달러를 돌파한 117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22.6월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실적인 기록하였습니다.

    디스플레이, 컴퓨터SSD 수출도 각각 8개월, 3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며, 선박 수출 역시 강세를 띄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관련 반도체 수요 증가로 일시적이라기보다는 지속적 수요 상승으로 인한 수출 견인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IT 품목 수출이 2년 만에 모두 플러스 증가율을 보였다고 통계청이 밝혔습니다.

    특히, 가장 큰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35.7% 증가한 117억달러로 2022년 6월 123억달러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실적을 거뒀습니다. 근래 IT 품목은 경기에 민간함 아이템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는 글로벌 경기가 점진적으로 좋아지고 있다는 의미로 기저 효과도 일부 있겠으나 현추세가 점진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3월의 국내 수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3월에 수출이 전년대비 3.1% 증가하였고 반대로 수입은 감소해서 무역수지가 42.8억불이 발생하였습니다.

    3월 수출에서 눈에 띄게 증가한 품목으로는 IT관련 품목들 (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 에서

    호조를 보였다고 합니다.

    또한, 선박 수출 및 바이오 관련 수출 역시 8개월, 5개월 연속 성장하기에

    이런 품목은 상반기에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수출에서 크게 증가한 품목 중에는 반도체, 자동차 부품, 철강 등이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세계적인 반도체 수요 증가와 함께 한국의 반도체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래에도 반도체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세계적인 IT 산업의 성장과 함께 한국의 수출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자동차 부품과 철강 등도 꾸준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