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산뜻한코끼리228
산뜻한코끼리22823.10.29

심해에 살고 있는 물고기가 먹이를 유인할 때

심해에 사는 물고기 중에 불빛이 나는 돌기를 갖고 있는 물고기가 있는데요,

어두운 심해속에서 불빛으로 먹이들을 유인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어떤 원리로 불빛을 낼 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어의 경우 생물 채내에서 빛을 내는데요, 이를 생물발광이라고 합니다. 쉽게 생각하면 반딧불이가 채내에서 빛을 만들어 내는 것과 유사합니다. 실제로 생물발광을 하는 동물은 육지에 있는 동물보다 바다에 살고 있는 동물이 더 많다고 합니다. 생물발광의 주요 원리는 루시페린 이란 빛을 내는 물질이 루시페라제 란 효소의 작용으로 루시페린이 산화되는데 이 때 빛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의 색상은 파란색이라 심해어가 만들어내느 그 색이 파란색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물발광의 원리는 루시페린(luciferin)이란 물질이 루시페라제(luciferase)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그때 방출되는 에너지가 빛 에너지 형태로 나오게 되는 것인데요, 이때 생성되는 빛은 생물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부분은 푸른빛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에 사는 물고기 중에 불빛을 내는 돌기를 갖고 있는 물고기는 발광어라고 불립니다. 발광어는 몸속에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발광기관은 루시페린이라는 물질과 루시페라제라는 효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루시페린은 루시페라제의 작용으로 산화되면서 빛을 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빛을 내는 돌기를 갖고 있는 심해의 물고기는 바로 생물 발광이라는 현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광 현상은 생물체가 자체적으로 빛을 생성하는 능력을 갖춘 것입니다.

    생물 발광은 주로 두 가지 원리에 의해 발생합니다. 첫 번째는 생물체가 발광을 위해 특정한 화학 물질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을 루시페린이라고 부르는데, 루시페린이 산소와 상호작용하면서 빛을 발생시킵니다. 이런 발광 물질을 갖고 있는 돌기나 다른 부위가 빛을 내는 것입니다.

    두 번째 원리는 미생물인 발광 세균과 식물인 조류의 공생 관계입니다. 일부 심해 물고기는 미생물인 발광 세균을 몸에 가지고 있거나, 조류와 공생하여 발광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미생물이나 조류는 발광을 위해 특정한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빛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생물 발광은 생물체들 간의 통신, 포식자 유인, 파트너 선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어둠 속에서 불빛을 내는 돌기를 갖고 있는 물고기는 먹이를 유인하거나, 상대를 놀라게 하거나, 종류를 구별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러한 발광을 활용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어의 초롱아귀같은 심해 물고기는 발광체를 이용하여 낚시하는 것으로 유명한데요 따로 기관이 발광한다기 보단 발광 박테리아가 빛을 발생시키켜 먹이를 사냥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약 1,500가지의 서로 다른 생물종이 발광(bioluminescence)을 이용하여 빛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생물들이 빛을 내는 원리도 다양합니다.

    • 심해 오징어는 발광을 사용하여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오징어는 몸에 있는 발광포(photophore)를 사용해 짙은 청색의 빛을 생성합니다. 이 빛은 고도로 발달된 오징어의 눈과 함께 작용하여 먹이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아귀(anglerfish)는 발광 박테리아와 공생 관계를 통해 더 교활한 방식으로 먹이를 찾습니다. 이 생물체는 빛이 들지 않는 심해에 서식하는데, 아귀(anglerfish)라는 이름이 의미하듯이, 이 ‘생물종은 날카로운 이빨이 있는 입 위에 달린 발광기(bulb)를 흔들어 먹이를 ‘낚습니다’. 이 발광기는 발광 박테리아로 채워져 있으며, 이 빛에 유혹된 다른 해양생물을 아귀가 빠르게 낚아챌 수 있도록 합니다.

    • 크릴새우는 ‘바다가 움직이도록 하는 연료’로 푸르스름한 강한 빛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새우와 비슷한 이 작은 생명체는 먹이사슬의 가장 아래에 있으며 고래의 주식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