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유망한코요테229
유망한코요테229

주식에 불타기 물타기 가 먼가요???

주식을 배울려하는 완전 초보 주린입니다 주식관련글에 보면 물탄다 불탄다고 많이들 하던데 그게 어떤걸까요? 그리고 왜 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둘의 공통점은 우선 내가 이미 투자한 기업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는 것입니다

    • 여기서 불타기는 내가 매수했던 단가보다 높은 단가로 매수하는 것을 말하고

      반대로 물타기는 내가 매수했던 단가 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 두 가지 모두 지금 단계 보다 앞으로 더 상승을 예상하면서 들어가는 전략으로 포지션 즉 비중확대를

      할 때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에서 불타기란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추가상승에 대한 시세 차익을 취하기 위해 추가매수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타기란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평단가를 낮추기 위해 추가 매수를 하는 것으로 불타기와는 정반대의 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투자한 주식의 주가가 하락할 경우, 보유한 주식의 평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00원짜리 주식을 매수하였는데, 주가가 하락하여 80원으로 떨어진 경우

    최초 매입했을 때 평단가는 100원이므로 20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인데요.

    수익률로 따지면 -20%입니다.

    하지만 80원으로 떨어진 주식을 1주 구매하면

    전체 보유한 주식은 180원이 되고, 수량은 2주이므로

    평균을 내보면 1개의 주식당 평단가가 90원이 됩니다.

    (180÷2=90)

    이 경우 수익률이 -10%로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주식이 회복하여 주가가 10원이 오르게 될 경우

    평단가가 100원이 되므로 손실을 모두 회복하게 됩니다.

    물타기를 하지 않는다면 80원이었던 평단가가 90원으로 오르겠지만 여전히 수익률은 마이너스(-10%)이므로 회복이 안 되겠지요.

    이처럼 주가 하락 시 물타기를 한다면 더 빨리 손실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했을 때 추가로 주식을 매수하여 평균단가를 낮추는 투자전략을 말합니다. 반대로 불타기란 주가가 상승할 때 추가로 주식을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주각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때 불타기 전략을 사용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물타기는 이미 매수한 주식이 하락했을때 추가로 매수해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불타기는 매수한 종목이 상승할때 평균 매수 단가를 높이는 것으로 지속 매수해 수익을 더 높히는 전략입니다.

    물타기, 불타기는 증시에서 더욱 이익을 극대화하기위한 전략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거래를 할 때 불타기는 평균 단가보다 현재 단가가 더 높아서 상승 하고 있을 때 추가적인 수익을 보기 위해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이고, 반대로 물타기란 자신이 매수한 단가보다 지금 단가가 더 낮을 때 평균 단가를 내리기 위해 추가 매수를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서 불타기, 물타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불타기란 주식이 상승할 때에 더 매수하는 것이고

    물타기란 주식이 하락할 때에 더 매수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불타기는 주식이나 코인을 매수후에 상승추세를 타며 이익인 구간에서 오히려 매도를 하는게 아니라 전고점돌파할때 매수를 하면서 비중을 늘리는게 불타기입니다

    물타기는 주식이나 코인을 매수후에 하락추세를 타서 손해인구간에서 손절을 하지않고 오히려 주식을 더늘려서 평균단가를 줄이며 비중늘리는게 물타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둘 다 주식을 매수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데요. 주식을 매수하면 평균 단가가 생깁니다. 예로 만원에 매수를 하면 평균 단가는 만원인 것이죠. 

    이때, 주가가 오천원으로 떨어지면 손해가 큰데 이를 방어하기 위해 추가 매수하는 것을 물타기라고 표현합니다. 쉽게 말해 물을 타서 희석한다는 느낌으로 평균 단가를 낮춘다는 느낌입니다.

    이와 반대로 주가가 상승해서 만오천원이 됐을때 더 상승할 것이라고 판단하면 추가로 매수할 수 있는데 이를 불타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불타기란 내 투자 자산이 수익권이고, 해당 종목이 상승중일때 시드를 더 투입하는것 입니다.

    반대로 물타기란 내 투자 자산이 손실권이고, 해당 종목이 하락중일때 시드를 투입해 평균 단가를 낮추는 것 입니다.

    불타기란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 물타기란 원금 회복을 위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