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3.11.19

요리할 때 알코올을 넣으면 잡내가 날아가는 원리는 뭔가요?

흔히 고기 요리를 할 때 잡내를 잡기 위해서 소주나 청주 등의 술을 넣습니다. 그게 알코올이 증발하면서 잡내를 같이 날린다고 하던데 그 원리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요리할 때 알코올을 넣으면 잡내가 날아가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알코올의 증발입니다. 알코올은 끓는점이 낮은 액체로, 가열하면 쉽게 증발합니다. 알코올이 증발하면 잡냄새를 내는 물질도 함께 증발하게 됩니다.

    두 번째는 알코올의 휘발성입니다. 알코올은 휘발성이 높은 물질로, 공기 중으로 쉽게 퍼집니다. 알코올이 공기 중으로 퍼지면 잡냄새를 내는 물질도 함께 퍼지게 됩니다.

    따라서, 요리할 때 알코올을 넣으면 알코올의 증발과 휘발성으로 인해 잡냄새를 내는 물질이 제거되어 잡내가 날아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요리할 때 알코올을 넣으면 잡내가 날아가는 원리는 증발에 기인합니다. 알코올은 물에 비해 증발이 빠르기 때문에 요리 중에 알코올을 넣으면 빠르게 증발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알코올이 가지고 있는 향기나 냄새 성분들이 증발하여, 요리 재료의 향과 맛을 더욱 진하게 만들어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코올은 기화온도가 낮습니다.

    그러다보니 기화될때 잡내와함께 알코올이 같이 증발해서 냄새제거에 용이한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