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10.26

지렁이가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주요 원리는 무엇인가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지렁이는 생태계에 필수적인 생명체라고 들었는데요. 지렁이가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주요 원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지렁이가 토양에 미치는 생물학적인 영향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가 살면서 만들어 둔 땅 속 통로는 빗물을 땅 속 깊이 빠르게 시켜 식물이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같은 지렁이의 특성 때문에 농사가 잘되는 비옥한 토양에는 지렁이가 많습니다. 지렁이를 많이 풀어 놓으면 토양이 비옥해집니다.


  • 지렁이는 환형동물문 지렁이아강에 속하는 생명체인데요, 토양의 비옥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생명체 중 하나입니다. 지렁이는 썩은 나뭇잎, 동물의 배설물과 같은 유기물을 섭취하는데요, 나뭇잎에 점액을 분비하여 잎을 습하게 만든 후에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가 진행되면 이를 섭취합니다. 원래 동물의 똥이나 식물의 잎 자체는 토양에 흡수되기 어려우므로 영양분으로 사용되기 힘든데요, 지렁이와 같은 토양생물 및 미생물은 이런 유기물을 잘게 분해하기 때문에 영양 흡수를 촉진하며, 유기물을 먹고 뱉은 배설물 역시 토양을 비옥하게 합니다. 지렁이가 먹이를 섭취한 후 12~20시간이 지나고 나서 배설을 하는데요, 이를 분변토라고 하며 거름으로 사용하는 N(질소), P(인), K(포타슘) 및 탄소, 아민산, 유기물 등이 함유되어 있어 토양에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땅을 파고 다니면서 토양에 구멍을 만듭니다. 이 구멍은 공기가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토양의 통기성을 개선합니다. 통기성이 개선된 토양은 뿌리가 더 잘 자랄 수 있고, 식물이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또 지렁이는 흙을 먹고 배설을 합니다. 지렁이의 배설물은 부엽토라고 불리며,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렁이의 배설물은 흙을 부드럽게 하고, 흙의 구조를 개선하여 토양의 부숙도를 높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