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나 캐나다 같은 경우에는 미국대통령이 관세 25프로를 부과했는데 보복카드가 있을까요?
미국의 대통령 도날드 트럼프가 오늘 새벽에 캐나다와 그리고 멕시코에
대해서 관세 25프로로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했는데요 그런데 멕시코와
캐나다 같은 경우에는 보복 카드로는 어떤 카드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의 경제에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기 때문에
보복성으로 같이 맞대응 하는 것은 좋은 전략이 아니며 오히려 더 경제적으로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럼프의 관세정책을 대응하기 위해서 미국이 원하는 사항을 들어줘야 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오늘 새벽에 미국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 하였으며,
이러한 대응국들은 미국산 제품에 똑같이 관세를 하거나 기존에 미국과의 무역협정을 재검토 할 수 있습니4다.
또한, 미국과 현재 갈등이 존재하는 중국과 협력하여 미국과의 갈등을 심화 시키는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앞으로 미국보다는 다른 국가 기업과의 우선 거래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2018년 트럼프 대통령 1기 시절, 멕시코와 캐나다는 보복 정책을 감행한 사례가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25%)과 알루미늄(10%)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멕시코는 즉각 보복 조치를 취했었습니다.
보복 관세 대상 미국 제품: 돼지고기 (20% 관세) / 치즈 / 감자 / 위스키 / 철강 제품 등
캐나다 또한 멕시코와 마찬가지로 철강 등 제품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다만, 미국은 기축통화국으로서 여러모로 초강대국입니다. 캐나다와 멕시코가 절대 넘어설 수 없는 나라이기 때문에 멕시코와 캐나다는 앞에서는 보복관세를 부과하면서도 뒤에서는 새로운 관세 협상(USMCA 등) 등을 통해 미국과 우호적으로 지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번에도 그런 식으로 진행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국으로, 보복으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세금을 부과하거나 미국 기업들의 현지 운영을 규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협정을 체결해 미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킬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캐나다 또한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기 때문에 캐나다-미국간의 관세 전쟁이 촉발되는 상황이고 멕시코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서 관세 부과를 완화하겠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멕시코와 캐나다 같은 경우에는 미국대통령이 관새를 25% 부과했는데, 이에 대한 보복카드가있겠지만, 미국의 또다른 보복카드를 제시한다면 어쩔수 없이 미국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멕시코나 캐나다도 아마 보복 정책을 취할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멕시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이 미국 관세 예고에 무역전쟁을 시사했는데요. 아마 어떤 조치라도 취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아직은 확정된 사안이 없어 추측만 할 뿐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멕시코나 캐나다 같은 경우 미국에서 부과한 관세 25퍼센트에 대해서 보복 카드가 있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수출이 미국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마땅히 보복할 수 있는 수단이 없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부과하거나,wto.에 제소하거나, 수출 규제 조치를 통해서 대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이론적으로는 보복카드로 미국산 상품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 자국 내에서 미국기업에 대한 과징금 등 불이익 부과 및 활동 제약 등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미국의 패권국으로서의 지위, 미국의 경제규모와 영향력 등을 생각해 보았을때 실제로 보복카드를 사용하기는 힘들 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