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대화할 때 제 말에 별로 관심이 없는 듯 반응하는데, 어떻게 하면 대화를 더 활발하게 이끌어갈 수 있을까요?
아이와 최대한 대화를 나누기 위해 노력하는데, 아이가 부모와의 대화에 무심하게 반응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소통을 더 활발하게 이끌어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대화에서 무관심하게 반응할 때는 부모가 이야기의 방식과 주제를 조정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아이가 흥미를 느낄 만한 주제로 접근해 보세요. 예를 들어, 그날 있었던 일이나 아이가 좋아하는 취미를 언급하면서 아이가 주도적으로 이야기할 기회를 주세요. 또, 아이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대화할 때 눈을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거나 “그랬구나,” “정말 재미있겠다” 같은 반응을 보여 아이가 관심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면 더 마음을 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일방적으로 질문하는 대신 아이의 의견을 묻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 주시면 아이가 더 편안하게 대화에 참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부모와의 대화에 무심하게 반응 하는 이유는
부모가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그 내용의 핵심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그냥 부모님의 이야기가 따분하고 지루하고 잔소리로 여겨질 경우 부모의 이야기에 무심하게 반응할 수 있겠습니다.
대화를 시작할 때에는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오늘 하루 어떻게 보냈어 라고 말을 먼저 전달을 해보세요.
그리고 아이의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아이의 관심사에 관련된 대화를 해보는 것도 아이와 언어적 소통을 함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와의 대화에서 무심한 반응을 보일 때, 부모는 종종 자신의 말을 충분히 듣지 않는 것 같아 걱정하게 됩니다. 사실 이런 반응은 아이의 발달 과정이나 심리적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대화에 무심하게 반응할 때, 자극적이고 재미있는 질문을 던지면 대화가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그냥 "오늘 어땠어?" 같은 질문보다는, 아이가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질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관심이 다른 데로 가 있으면 잠시 쉬어가며 대화 주제를 변경해보세요. "너 요즘 책을 많이 읽는 것 같은데, 무슨 책 읽고 있어?" 같은 식으로 다른 주제로 전환을 시도해보세요. 부모의 말투나 목소리 톤도 아이의 대화 참여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너무 지시적이거나 단호한 말투보다는 부드럽고 개방적인 톤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