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따뜻한밀잠자리32
따뜻한밀잠자리3222.05.27

팔꿈치 기형으로 인한 통증, 완화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팔꿈치 상태가 좋지 못한 30대 남성입니다.

어릴 적(4~5살 경 추정) 팔을 다친 후 회복 과정에서 기형화가 진행돼, 지속적으로 통증이 있는 상황입니다.

팔을 굽히고 펼 때마다 팔꿈치 관절에서 탄발음이 나고, 팔을 굽힌상태로 조금 있으면 팔꿈치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최근 팔꿈치의 상태가 악화됐는지 머리를 감는 가벼운 행동을 할 때 뿐만 아니라, 가만히 누워있을 때마저 통증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병원에 가도 수술 후 팔 현재보다 팔 상태가 나아진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수술은 권하지 않았습니다. 또, 최대한 팔을 아껴 쓰면서 아플 땐 진통제를 먹어 통증을 완화시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여기서 질문 드립니다.

1. 팔꿈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2. 팔꿈치 주변 근육을 키우면 통증이 완화될 수 있을까요? 혹시나 그렇다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두서없는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소염진통제, 근이완제 복용으로 호전을 보일 수 있겠습니다.

    팔꿈치 관절 관련 근육 강화로는 통증이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엑스레이에서도 팔꿈치 관절의 바깥쪽 일부가 돌출된 것이 관찰되는 데

    이것을 교정한다고 해서 통증이 사라질 지에 대해 정형외과에서도 확신이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팔꿈치 주변으로 근육을 충분히

    강화시키는 운동을 하도록 권하게 되는 데 처음에는 작은 아령을 들어서 통증에

    조금씩 적응하도록 하면서 관절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올리게 되며 아령의 무게에서

    더 이상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 아령의 무게를 조금씩 올리게 됩니다.

    2.5 kg 이상에서도 통증이 없는 경우 팔굽혀 펴기나 철봉 등을 통해 팔꿈치 관절의

    강도를 높히며 이후에도 통증이 없는 경우 농구, 배드민턴 등의 운동을 통해 관절의

    유연성을 기르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1. 팔꿈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원인이 불명확하므로 정확한 진단명을 알아야 완화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절이 움직이면서 소리가 나는 경우는 관절사이 위치하는 관절낭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소리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보통 치료를 요하거나 병원 진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등에서 연골이 마모되고 뼈가 부분적으로 드러나거나 거칠어지면서 해당 뼈 간에 마찰음으로 생기는 경우라면 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2. 팔꿈치 주변 근육을 키우면 통증이 완화될 수 있을까요? 혹시나 그렇다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상기 답변에서처럼 원인에 따라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통증이 있다면 휴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는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이미 과거 골절로 인해서 부정유합 및 불유합이 일어난것으로보입니다.

    관절염이 추후 진행할것입니다.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팔꿈치 인공관절은 결과가 그리 좋지 않아 딱히 방법이 없습니다.


  • 1. 병원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통증 증상에 대해서는 진통제 사용을 통해서 조절하는 것이 최선일 것으로 보입니다.

    2. 골격의 문제로 인한 통증이기 때문에 근육을 키운다고 하여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시도는 해보실 수 있겠습니다.

    3.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해서 통증이 유발되는 등 무리가 된다면 안 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1. 팔꿈치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통증을 느끼는 것은 아주 단순하게 얘기하면 감각신경의 민감화 떄문입니다.

    감각신경이 민감화되는 이유는 염증, 압박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구요.

    팔꿈치 기형 때문에 신경주행이 꼬이거나 압박되어 만성적인 통증이 발생한다면

    신경주사 및 박리를 통해서 통증조절 해볼 수 있겠습니다.

    염증이 심하면 소량의 스테로이드를 주사하여 염증 호전을 기대해볼 수도 있구요.

    이런 치료방법을 갖고 있는 병원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통증클리닉을 잘 찾으셔야겠습니다.


    2. 팔꿈치 주변 근육을 키우면 통증이 완화될 수 있을까요? 혹시나 그렇다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추천 부탁드립니다.
    근육의 비대가 주변 조직 충격완화와 혈류개선에 영향을 줍니다만

    질문자님 같은 경우는 잘모르겠네요.


    3.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1)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근육을 수축 이완 시키시고

    2) 부딪히는 소리가 안들리는 방향각도로 운동수행하시기 바라며

    3) 중량은 중중량 중반복 원칙으로 근육 부하를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ulnar 뼈와 맞닫는 윗팍뼈 (humerous) 의 cepitellum 부위에 골절이 되셨던것 같습니다. 성장판을 다쳐서 해당 부위는 성장이 더뎌서 다른뼈와 구조상 맞지 않아질 수 있습니다.

    관절을 사용하면서 마찰에 의해서 소리가 난다는 이야기는 관절이 충분한 충격을 흡수해주지 못한다는 이야기고 근육을 키운다고 통증이 좋아질 상황이 아닌걸로 판단됩니다. 오히려 팔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셔야 통증이 줄어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에 근육 운동을 한다고 하면 관절은 움직이지 않고 isometric 운동만 하시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좋겠고 이런 경우는 동네 병원보다는 대학병원 정형외과 진료를 통해서 도움받을 방법이 잇는지 알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