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1

식물이 광합성을 한다는 사실을 어떤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한가요?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때문에 잎색깔이 초록색을 띠고 있습니다. 광합성을 한다는 사실을 어떤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5.21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합성은 식물 및 다른 생명체가 빛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과정이다. 전환된 화학 에너지는 나중에 생명체의 활동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방출될 수 있다. 이 화학 에너지는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합성된 당과 같은 탄수화물 분자에 저장된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면 잎은 초록색이 아니라 다른색 일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사실을 확인하는 몇 가지 과학적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광합성과 관련된 화학 반응이나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합성 속도 측정: 광합성 속도는 광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변화합니다. 광원 아래에 식물을 두고 일정 시간 동안 광합성 속도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 광합성 속도 측정 장비인 광합성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장비는 식물이 소비하는 이산화탄소량과 산소를 생성하는 양을 측정하여 광합성 속도를 파악합니다.

    엽록소 플로레센스 측정: 광합성 과정에서 엽록소는 빛을 흡수하고 플로레센스를 방출합니다. 엽록소 플로레센스는 광합성의 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엽록소 플로레센스 측정은 플로로메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흡수 측정: 광합성은 이산화탄소의 흡수와 산소의 방출로 이루어집니다.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측정하여 식물의 광합성 활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가스 분석기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산소 방출 측정: 광합성 과정에서 식물은 산소를 방출합니다. 산소 방출량을 측정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산소 전극을 사용하여 식물이 방출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광합성의 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광합성에 관련된 생리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여 식물의 에너지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간단합니다.

    분자식으로 알아내는 방법도 있지만 잔존산소양을 측정하는 기계가 있습니다.

    식물을 밀폐된 공간에 두고 잔존산소양을 구해도 바로 나올수 있습니다. 그 비율을 밤과 낮을 기준으로 나누면 빛에 의해 생성된다는걸 검증까지 가능하고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면접 질문 답변 할때 쓰려고 한다고 해서 요약을 했는데, 질문이 어떻게 나올지 모르니 핵심은 메모하여 외우고, 아래 동영상은 중요한 실험이니 잘 익히고, 광합성의 조건(빛의 세기, CO2농도, 등)에 따른 변화도 알아 놓기 바랍니다. 즉, 빛이나 CO2농도가 증가한다고 무조건 광합성량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을 알아 놓으시길



    - 광합성이란 녹색식물이나 그 밖의 생물의 엽록체에서 빛에너지를 이용해 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하여 화합물(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작용이다. 일반적으로는 녹색식물에 의한 에너지 변환 과정을 말하는데 식으로 나타내면 이러한 형태가 된다.

    6CO2 + 12H2O → C6H12O6 + 6H2O + 6O2


    수학에서의 점근선이랑 비슷해보이네요.

    사실 식물 광합성의 핵심 원리는 풀 한 포기가 하늘에서 내리쬐는 햇빛, 뿌리에서 올라오는 물(H2O), 공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이산화탄소(CO2)를 받아들여 산소(O)와 탄소화합물인 포도당·녹말 등으로 이뤄진 열매를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 초등,중등때 실험한 기억이 나긴 하는데...

    녹발이 생성되는 실험인데요...

    (1) 과정
    ① 맑은 날 오전에 잎의 일부를 알루미늄박으로 가린다.
    ② 오후에 잎을 따서 에탄올을 물중탕하여 엽록소를 제거한다.
    ③ 식물의 잎에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린 후 색깔 변화를 관찰한다.
    (2) 결과
    알루미늄박으로 가리지 않은 부분에서만 청람색 반응이 일어난다.
    → 광합성 결과 녹말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소가 발생하는 실험은...

    1. 표본병에 물을 채운 후 빨대로 입김을 불어넣는다. ⇒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충분하게 공급하기 위해서이며..

    2. 표본병에 물풀을 넣고 작은 깔때기를 씌운 후 물을 채운 시험관을 그 위에 고정하고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놓아둔다.

    ⇒ 물풀의 잎에서 기포가 발생된다. ⇒ 물풀의 잎에서 광합성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시험관 속에 기포가 많이 모이면 핀치꼭지를 열어 시험관 속에 성냥 불똥을 넣어본다. ⇒ 성냥의 불꽃이 밝아진다.

    ⇒ 광합성 결과 산소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 2가지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 발생하는 물질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