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5.21

식물이 광합성을 한다는 사실을 어떤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한가요?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때문에 잎색깔이 초록색을 띠고 있습니다. 광합성을 한다는 사실을 어떤 과학적 방법으로 확인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23.05.21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합성은 식물 및 다른 생명체가 빛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과정이다. 전환된 화학 에너지는 나중에 생명체의 활동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방출될 수 있다. 이 화학 에너지는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합성된 당과 같은 탄수화물 분자에 저장된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다면 잎은 초록색이 아니라 다른색 일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사실을 확인하는 몇 가지 과학적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광합성과 관련된 화학 반응이나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합성 속도 측정: 광합성 속도는 광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변화합니다. 광원 아래에 식물을 두고 일정 시간 동안 광합성 속도를 측정합니다. 이를 위해 광합성 속도 측정 장비인 광합성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장비는 식물이 소비하는 이산화탄소량과 산소를 생성하는 양을 측정하여 광합성 속도를 파악합니다.

    엽록소 플로레센스 측정: 광합성 과정에서 엽록소는 빛을 흡수하고 플로레센스를 방출합니다. 엽록소 플로레센스는 광합성의 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엽록소 플로레센스 측정은 플로로메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 흡수 측정: 광합성은 이산화탄소의 흡수와 산소의 방출로 이루어집니다.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측정하여 식물의 광합성 활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가스 분석기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산소 방출 측정: 광합성 과정에서 식물은 산소를 방출합니다. 산소 방출량을 측정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산소 전극을 사용하여 식물이 방출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여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광합성의 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광합성에 관련된 생리적, 화학적 반응을 측정하여 식물의 에너지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면접 질문 답변 할때 쓰려고 한다고 해서 요약을 했는데, 질문이 어떻게 나올지 모르니 핵심은 메모하여 외우고, 아래 동영상은 중요한 실험이니 잘 익히고, 광합성의 조건(빛의 세기, CO2농도, 등)에 따른 변화도 알아 놓기 바랍니다. 즉, 빛이나 CO2농도가 증가한다고 무조건 광합성량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을 알아 놓으시길



    - 광합성이란 녹색식물이나 그 밖의 생물의 엽록체에서 빛에너지를 이용해 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하여 화합물(포도당)과 산소를 만드는 작용이다. 일반적으로는 녹색식물에 의한 에너지 변환 과정을 말하는데 식으로 나타내면 이러한 형태가 된다.

    6CO2 + 12H2O → C6H12O6 + 6H2O + 6O2


    수학에서의 점근선이랑 비슷해보이네요.

    사실 식물 광합성의 핵심 원리는 풀 한 포기가 하늘에서 내리쬐는 햇빛, 뿌리에서 올라오는 물(H2O), 공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이산화탄소(CO2)를 받아들여 산소(O)와 탄소화합물인 포도당·녹말 등으로 이뤄진 열매를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 초등,중등때 실험한 기억이 나긴 하는데...

    녹발이 생성되는 실험인데요...

    (1) 과정
    ① 맑은 날 오전에 잎의 일부를 알루미늄박으로 가린다.
    ② 오후에 잎을 따서 에탄올을 물중탕하여 엽록소를 제거한다.
    ③ 식물의 잎에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린 후 색깔 변화를 관찰한다.
    (2) 결과
    알루미늄박으로 가리지 않은 부분에서만 청람색 반응이 일어난다.
    → 광합성 결과 녹말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소가 발생하는 실험은...

    1. 표본병에 물을 채운 후 빨대로 입김을 불어넣는다. ⇒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충분하게 공급하기 위해서이며..

    2. 표본병에 물풀을 넣고 작은 깔때기를 씌운 후 물을 채운 시험관을 그 위에 고정하고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놓아둔다.

    ⇒ 물풀의 잎에서 기포가 발생된다. ⇒ 물풀의 잎에서 광합성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시험관 속에 기포가 많이 모이면 핀치꼭지를 열어 시험관 속에 성냥 불똥을 넣어본다. ⇒ 성냥의 불꽃이 밝아진다.

    ⇒ 광합성 결과 산소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 2가지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 발생하는 물질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