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엉뚱한나무늘보73
엉뚱한나무늘보7323.05.02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굼금합니다. 우주는 검은색이자나요?

근데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이는이유가 뭔가요?

검은색으로 보여야하는거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태양광 스펙트럼의 파장 중 파란색이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산란이란, 빛이 공기 분자와 충돌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 과정에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태양에서 나오는 빛은 여러 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빛이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오면, 공기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산란되고, 이 산란된 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더 많은 각도로 산란되어서 눈에 더 잘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반면, 일몰이나 일출 때에는 태양이 지평선 근처에 있기 때문에 빛이 더 멀리 이동하면서 파장이 긴 주황색이나 빨간색 등이 더 많이 산란되어서 하늘이 빨갛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지구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중 파장이 긴 다른 색은 대기를 뚫고 지표에 도달하지만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대기에서 산란되어 하늘이 파란색인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푸른 이유는 대기 중에서 빛이 빛의 파장의 약 1/10 이하의 미립자를 통과할 때 생기는 산란의 세기가 파장의 4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입니다.즉 태양 빛이 대기 중을 통과할 때 짧은 파장의 빛일수록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하늘이 푸른빛을 띠게 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에서 지구로 들어오는 빛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대기 분자와 부딪치게 됩니다. 이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과 보라색은 더 심하게 산란되어 하늘색으로 인식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란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강하게 일어나므로 낮에 파장이 짧은 청색 빛이 산란이 일어나 대기는 청색 산란광이 지표에 가장 많이 도달하는 두께를 갖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