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기계공학

오스트딘박동원
오스트딘박동원

엘리베이터는 실제로 추락할 수 없는 구조로 만들어 졌나요??

엘리베이터가 정말 추락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만들어졌나요?

지금은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이 없을 정도니까요? 구체적으로 어떤 구조적 안전장치들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비상 브레이크, 감속 장치, 안전 케이블 등 어떤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지 알고 싶어요~

사고가 난다면 어떤 안전 시스템이 작동해서 승객을 보호하는지도 궁금합니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하기 이미지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엘리베이터는 말씀하신 대로 여러 겹의 안전장치를 통해 매우 안전하게 설계되어있습니다.

    실제로 엘리베이터가 자유 낙하하는 사고는 극히 드물며, 이는 다양한 안전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엘리베이터의 주요 구조적 안전장치와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와이어 로프(Wire Ropes)
      엘리베이터 카(승강기)는 여러 가닥의 튼튼한 와이어 로프에 매달려 운행됩니다. 이 로프들은 각각 엘리베이터카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수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한두 가닥이 끊어져도 다른 로프들이 카를 지탱할수있도록 여러 개가 사용됩니다.

    2. 조속기(Speed Governor)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장치입니다.만약 엘리베이터가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빨라지면 조속기가 이를 감지하여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킵니다.

    3. 비상정지장치(Safety Gear / Safety Clamp)
      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핵심 안전 장치로, 조속기과 과속을 감지하면 즉시 작동하여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을 강하게 잡아 엘리베이터 카를 멈추게 합니다. 이는일종의 비상 브레이크 역할을 하며, 추락을 방지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입니다.

    4. 완충기(Buffers)
      승강로의 가장 아래층 바닥에는 완충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마약 엘리베이터 카가 어떤 이유로든 최하층을 지나쳐 내려가더라도, 이 완충기가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과 카의 손상을 최소화합니다.

    5. 문닫힘안전장치(Door Interlocks)
      엘리베이터 문이 완전히 닫히고 잠기지 않으면 엘리베이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안전 장치입니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해당층에 정확히 멈추지 않으면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6. 리밋트 스위치(Limit Switches)
      엘리베이터가 승강로의 최상층이나 최하층을 벗어나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장치입니다.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운행을 멈춥니다.

    사고 발생시 안전 시스테 작동 과정

    만약 엘리베이터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안전 시스템이 작동하여 승객을 보호합니다.

    1. 조속기 작동 : 엘리베이터의 속도가 설정된 기준치를초과하면 조속기가 이를 감지합니다.

    2. 비상정지장치 활성화 : 조속기의 신호에 따라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여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ㅇ르 강하게 잡아 엘리베이터 키를 멈춥니다.

    3. 완충기 충격 흡수 : 만약 비상정지장치로도 완전히 멈추지 못하고 최하층을 지나치게 되면, 바닥에 설치된 완충기가 마지막으로 충격을 흡수하여안전을 확보합니다.

    이처럼 엘리베이터는 여러 겹의 안전 장치와 정기적인 안전 검사를 통해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되고 관리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전문가입니다.

    요즘 엘리베이터는 추락 걱정 거의 안 하셔도 됩니다. 혹시나 와이어가 끊어져도, 엘리베이터에는 여러 겹의 안전장치가 동시에 작동하게 설계돼 있어요.

    먼저, 강철 와이어가 4~8개 달려 있어서 한두 개가 끊어져도 지탱이 되고요.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면 속도조절장치가 이를 감지해서
    즉시 비상 브레이크(세이프티 기어)가 작동하면서 레일을 꽉 잡아 멈춥니다.

    또 바닥에는 완충 장치도 있어서 만약에 내려오다가 멈추지 못해도 충격을 흡수해주죠.

    정전이나 고장 상황에서도 자동 정지 후 가장 가까운 층에 멈추도록 되어 있어 실제로는 한 번에 여러 시스템이 작동하면서 추락을 막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추락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실제 엘리베이터 사고 중 추락 사고는 매우 드물며 여러가 지 안전 장치와 시스템이 존재하여 비교적 안전합니다.

    엘리베이터에는 조속기, 제동기, 비상정지장치, 안충기, 충격방지안전 장치 등 여러장치 사고시 중복으로 작동하기

    추락이 불가능 하도록 설계되어 안전하게 만들어 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추락할 수 없는 구조라기 보다는 2중 3중으로 안전성을 추가 확보하기 위한 장치들이 적용되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