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수요일
수요일

비행기는 왜 착륙을 할때 뒷타어어 부터

비행기는 왜 착륙할때 뒷타이어 부터 지면에 닿게 하는걸

까요? 꼭 그렇게 착륙을 해야하는 이유가있다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착륙할때 뒷타이어(주로 주 착륙장치)를 먼저 지면에 닿게 하는 이유는 안전성과 안정성 때문입니다. 뒷타이어는 무게 중심 근처에 위치해 비행기의 무게를효과적으로 지탱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먼저 뒷타이어가 닿으면 비행기 앞부분(노즈기어)은 약간 떠있는 상태로 조종사가 속도와 방향을 더 잘 제어할수있습니다. 또한, 앞타이어가 먼저 닿으면 비행기 앞부분이 급격히 흔들리거나제어가 어려워져 위험할수있습니다. 이 방식은 항공역학적으로도 안정적인 착륙을 도와주며 속도 감속과 안전한 접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뒷타이어부터 착륙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상대적으로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있기 때문에 착륙 시 충격을 앞에서 보다는 뒤에서 먼저 받아서 분산시키는 효과 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뒷바퀴부터 착륙하는 이유

    • 뒷바퀴가 더 크고 강하여 안정성 확보를 위함입니다.

    • 뒷바퀴에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균형 잡기가 용이합니다.

    • 직접정 충격으로 압바퀴를 보호가 가능합니다.

    • 방향 조종이 용이하여 활주로 이탈을 방지합니다.

    • 부드러운 착륙감을 승객에게 제공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일단 비행기가 날 수 있는 원리는

    베르누이 정리에 따른 날개에서의 양력 발생에 따른 비행입니다.

    착륙 시 만약 양력발생이 되지 않는 다면 추락 가능성이 증대되겠지요.

    그럼 일단 비행기 착륙 과정을 간단히 나열해보면

    • 직선 비행경로 유지하며 직선 강하 비행

    • 장애물 고도(안전한 비행상태 유지가능한 최소고도)에서 시작

    • 활공각이 지면과 3도 의 각도를 유지하며 진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

    • 클린상태( 착륙 장치들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 있던 착륙장치들이 사용되기 시작

    • 비행기 날개의 면적과 받음각을 증가시킴

      이는 플랩(양력을 높이는 착륙장치) 을 사용하여 느린 속도로 접근 및 활공각 조정가능

      • 활공각이 너무 작을 경우

        조종사 시야가 좁아져 접지 지점 판단 어려움

        속력 줄어드는 과정에서 양력이 급격히 사려져 추락 가능성 발생

        따라서 비행기 추락방지를 위해 양력 높게 유지

      • 황공각이 너무 클 경우

        접지 지점을 파악이 어려워 지점 벗어날 가능 성 발생

        이상적 착륙 활공각을 만들기 위해 시간당 고도 감소율이 에상보다 높아져

        활공각이 3도 보다 작어질 가능성 증대 됨

    결국은

    추락을 안하기 위해서는

    양력을 유지하면서 착륙을 해야한다는 것인데

    그에 따른 착륙 시 이상적 활공각은 3도라는 것입니다.

    물론 그 범위가 조종사 마다 다르겠으나

    그게 너무 벗어나게된다면

    위에 열거한 대로 여러 위험성 들에 노출되기에

    각도를 유지하며 하강을 하게되어

    결국 뒷바퀴 부터 착륙하게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뒷타이어부터 닿는 이유는 안전과 안정성 때문입니다. 뒷타이어가 먼저 닿으면 무게 중심이 뒤에 있어 충격을 흡수하고, 기체가 안정적으로 착지할 수 있어요. 반면에 앞타이어가 먼저 닿으면 기체가 불안정해지고 큰 충격을 받을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죠.